
목차
들어가며
1부: Web3 인프라
2부: 블록체인 모듈화(Modularity)
맺으며
들어가며
KBW 2023의 본격적인 개막을 앞두고 쟁글이 9월 4일 사이드 이벤트 Inter-Linked@KBW’23 (이하 Inter-Linked)를 주최했다. Inter-Linked에선 무엇보다 블록체인의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추었던 만큼, 체인링크(Chainlink), 코스모스테이션(Cosmostation), 파티클 네트워크(Particle Network), 바이코노미(Biconomy), 라디우스(Radius), 셀레스티아(Celestia), 크로마(Kroma), 에스프레소 시스템(Espresso System), 네더마인드(Nethermind)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인프라 레벨에서 블록체인의 발전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들을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개별 세션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
1부: Web3 인프라
체인링크(Chainlink): CCIP로 진정한 멀티체인 세상을 구현한다
체인링크는 수많은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유동성이 파편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브릿지의 안전한 대체제로 CCIP(Cross-Chain Interoperability Protocol)를 소개했다. CCIP는 하나의 단일 주체가 아닌 세개의 네트워크에 신뢰를 분산시키며, 오로지 보안을 위한 Risk Management Network라는 장치가 추가로 존재하기 때문에 더 높은 탈중앙성과 효율적인 보안을 달성한다. 체인링크는 전통 금융권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Web3 시장에 진입하는 단계에 사용할 프라이빗 체인과 퍼블릭 체인을 안전하게 CCIP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산업의 규모 자체를 키우고 금융 시스템을 혁신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올 7월 메인넷에 출시된만큼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진정한 멀티체인 세상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로서 CCIP가 블록체인 대중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CCIP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체인링크 CCIP, 레이어제로를 너머 표준이 될 수 있을까?’를 참고해도 좋다.
출처: Chainlink
Biconomy(바이코노미): AA로 블록체인 서비스의 낮은 UX를 개선한다
바이코노미는 AA(Account Abstraction, 계정 추상화)를 도입하여 현재 블록체인 서비스의 낮은 사용자 경험(UX)을 개선하고자 한다. 바이코노미의 모듈러 스마트 어카운트 월렛은 애플리케이션별로 월렛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는 Modular한 특성, 업그레이드를 쉽게 진행할 수 있는 Stateless한 특성, 그리고 트랜잭션을 원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Programmable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이코노미의 모듈러 SDK 스택을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Paymaster와 Bundler로 이루어진 ERC4337 인프라 레이어와 모듈러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 소셜 로그인 모듈, 패스키 모듈 등으로 구성된 스마트 어카운트 레이어로 설계되어 있다. 바이코노미는 향후 모듈이 ERC6900과 호환되도록 표준화 작업을 거칠 예정이며, 보안을 강화하고, 모바일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SDK를 개발할 계획이다. 바이코노미가 블록체인의 최대 골칫거리인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AA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ERC4337, UX 혁신의 핵’를 참고해도 좋다.
출처: Biconomy
Xangle(쟁글): Web2 기업의 Web3 시장 진출을 도와 Web3 시장의 성장을 지원한다
Web3 인프라는 2009년 비트코인, 2015년 이더리움, 2019년 오라클, 2021년 L1과 옵티미스틱 롤업, 2023년 모듈러 블록체인과 zkEVM 등을 거쳐 벌써 15년의 역사를 맞이하고 있지만, 여전히 Web3 생태계의 변동성은 매우 높다. 쟁글은 이는 시장 상황에 의존도가 높은 금융 섹터가 Web3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고, 이러한 변동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금융뿐만 아닌 기존 산업 영역들도 Web3 시장에 편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쟁글은 전통 기업들의 Web3 영역 진출을 돕기 위해 규제를 준수하는 Web3 전용 회계 솔루션과 유통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내부 오퍼레이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성과 분석 지표를 제공하여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쟁글의 새로운 서비스 출시 배경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Adoption 2023 시리즈 1편: Insight’를 참고해도 좋다.
출처: Xangle
2부: 블록체인 모듈화(Modularity)
라디우스(Radius): 현존하는 롤업의 미해결 과제를 해결한다 (1)
라디우스는 현존하는 롤업의 미해결 과제인 중앙화, 지속가능하지 않은 수익 구조, 낮은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를 모두 해결하고자 한다. 1) 중앙화 문제는 멤풀의 암호화를 통해 시퀀서가 MEV를 추출하지 못하도록 방지하여 해결하며, 2) 지속가능하지 않은 수익 구조는 블록 스페이스를 암호화된 멤풀과 퍼블릭 멤풀로 분할하고 각각의 멤풀에 적합한 수수료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면서도 롤업 운영자가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3) 낮은 상호운용성은 다양한 롤업들이 공유 시퀀서를 통해 소통하며 상태에 동의하도록 하여 개선한다. 라디우스가 그리는 진정한 롤업의 탈중앙화는 사용자 보호,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 롤업 간 상호운용성이 확보된 모습인 것이다. 라디우스의 테스트넷 출시는 올 4분기, 메인넷 알파 단계는 내년 1분기 예정되어 있다. 라디우스와 공유 시퀀서 네트워크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공유 시퀀서 네트워크(Shared Sequencing Network): 롤업의 탈중앙화를 위한 미들웨어 블록체인’를 참고해도 좋다.
출처: Radius
에스프레소 시스템(Espresso Systems): 현존하는 롤업의 미해결 과제를 해결한다 (2)
에스프레소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라디우스와 유사하게 현재 롤업이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에스프레소 시스템은 롤업이 마주한 과제로 롤업 간 연산(Computation) 환경의 차이와 롤업 서버 중앙화로 인한 낮은 검열 저항성 및 MEV 독식 등을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에스프레소 시스템은 L1으로부터 시퀀싱 및 가용성 레이어를 분리하고, 공유 시퀀서 네트워크를 도입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를 통해 롤업 간 브릿징 과정을 간소화하고 브릿지가 가지는 시스템적 보안 리스크를 완화하며, 롤업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스프레소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아이겐레이어의 밸리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이들이 L1과 시퀀싱 레이어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다. 라디우스와 함께 롤업의 미해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에스프레소 시스템과 공유 시퀀서 네트워크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공유 시퀀서 네트워크(Shared Sequencing Network): 롤업의 탈중앙화를 위한 미들웨어 블록체인’를 참고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