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image
+1
김재원 (포뇨)외 1명
Research Team Lead/
Xangle
2023.09.05

목차

들어가며

1부: Web3 인프라

2부: 블록체인 모듈화(Modularity)

맺으며

 

 

 

들어가며

KBW 2023의 본격적인 개막을 앞두고 쟁글이 9월 4일 사이드 이벤트 Inter-Linked@KBW’23 (이하 Inter-Linked)를 주최했다. Inter-Linked에선 무엇보다 블록체인의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추었던 만큼, 체인링크(Chainlink), 코스모스테이션(Cosmostation), 파티클 네트워크(Particle Network), 바이코노미(Biconomy), 라디우스(Radius), 셀레스티아(Celestia), 크로마(Kroma), 에스프레소 시스템(Espresso System), 네더마인드(Nethermind)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인프라 레벨에서 블록체인의 발전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들을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개별 세션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 

 

1부: Web3 인프라

체인링크(Chainlink): CCIP로 진정한 멀티체인 세상을 구현한다

체인링크는 수많은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유동성이 파편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브릿지의 안전한 대체제로 CCIP(Cross-Chain Interoperability Protocol)를 소개했다. CCIP는 하나의 단일 주체가 아닌 세개의 네트워크에 신뢰를 분산시키며, 오로지 보안을 위한 Risk Management Network라는 장치가 추가로 존재하기 때문에 더 높은 탈중앙성과 효율적인 보안을 달성한다. 체인링크는 전통 금융권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Web3 시장에 진입하는 단계에 사용할 프라이빗 체인과 퍼블릭 체인을 안전하게 CCIP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산업의 규모 자체를 키우고 금융 시스템을 혁신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올 7월 메인넷에 출시된만큼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진정한 멀티체인 세상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로서 CCIP가 블록체인 대중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CCIP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체인링크 CCIP, 레이어제로를 너머 표준이 될 수 있을까?’를 참고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