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들어가며
2. 베인앤컴퍼니: Web 3 시장은 네 가지 도메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기회들이 생겨날 것
3. 쟁글: 퍼블릭 블록체인의 활용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온체인 데이터의 체계적인 분석이 더욱 중요해질 것
4. 맺으며
1. 들어가며
7/11 ~ 7/12 양일간 <Xangle Adoption 2023>이 개최됐다. 쟁글이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준비한 이번 컨퍼런스는 ‘Web 3 비즈니스 가치를 탐구하라’는 주제로 게임, 엔터테인먼트, 유통, 제조, 금융, IT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200여 개가 넘는 기업들이 참석하였다. 크립토 시장은 작년 테라-루나 사태와 FTX 사태에 이어 올 초 실버게이트, SVB, 시그니처 은행 등이 줄파산을 거치며 ‘크립토 윈터’에 접어든 상태다. 그럼에도 금번 컨퍼런스는 Web3 산업에 다가올 매스 어돕션에 대한 확신을 갖고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기업들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메인 세션에서는 ‘대중화’라는 주제에 걸맞게 Web 3 산업의 미래 성장 전략, 블록체인 기술 도입 시 유의사항, 그리고 Web3 시장에 진입하며 경험한 의사 결정과 시행착오 등 국내외 기업들의 인사이트를 엿볼 수 있었다.
쟁글 리서치팀은 다양한 연사들의 발표 내용을 인사이트, NFT, 게임, 그리고 소비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총 4부작으로 구성된 Adoption 2023 시리즈를 구성하였다. 그 중 첫 번째 시리즈인 인사이트는 양일간 컴퍼런스의 포문을 열었던 베인앤컴퍼니(Bain&Company)와 쟁글이 바라보는 Web3 시장 진출 전략과 블록체인 산업의 미래에 대한 시각을 공유하고자 한다.
2. 베인앤컴퍼니: Web3 시장은 네 가지 도메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기회들이 생겨날 것
베인앤컴퍼니의 양영훈 파트너는 매스 어돕션(Mass Adoption)이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님을 강조하며 세션을 시작했다. 그는 시장 초기 기술에 대한 이해도 없이 투기성 목적을 가진 개인 위주로 시작되었던 산업이 서비스 분화를 위한 토양이 구축되고 대형 전통 기업들의 진입이 확대됨에 따라 기업과 기관 중심의 산업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블록체인의 대중화는 산업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텐데, 산업의 비효율성이 높거나 시장 참여자의 Web 3에 대한 니즈가 높은 산업을 기점으로 Web3의 침투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현재 금융과 게임 섹터 위주로 형성된 Web 3 산업이 향후에는 Web3 도입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대형 고객 기반 보유 산업으로 확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양영훈 파트너는 Web 3 사업 기회를 소개하기에 앞서 Web3 사업 도메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 Access Layer: 고객들이 Web 3 서비스에 접근하는 채널로 지갑, 중앙화 거래소, 커스터디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
- Dapp: Web3에 진입한 고객들이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 Mainnet: 고객들이 사용하는 Dapp의 기반이 되는 OS(Operating System)
- Infra: 위의 모든 생태계가 구현될 수 있도록 기술적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프라
그는 Web3 생태계가 발전해 나감에 따라 각 도메인 별로 다양한 사업 기회가 발현할 것으로 보았다. 현재 Web3 생태계는 크립토 기반 고객들을 대상으로 PoC 단계에 머물러있는데, 머지않아 킬러 디앱들이 등장하면서 매스 어돕션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유저 기반의 Web3 서비스 모델들이 점점 고도화됨에 따라 중장기적인 미래에는 다음과 같이 더 많은 Web 3 사업 기회가 생길 것으로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