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들어가며
1. 롯데와 신세계, 자체 IP 활용하여 NFT 시장에 진출하다
1-1. 롯데: MZ세대를 겨냥한 벨리곰(Bellygom) 출시
1-2. 신세계: 네덜란드 출신 유명 일러스트 작가가 만든 푸빌라(Puuvilla)의 NFT화
1-3. 두 프로젝트 모두 출시 초기 폭발적인 인기를 경험
2. 다만, 두 기업 모두 시장 침체와 수익성 악화로 최근 성과는 부진
2-1. 문제 1: 시장 침체에 따른 관심도 하락
2-2. 문제 2: 매출 구조의 한계로 인한 수익성 악화
3. 참여형 생태계 구축과 OSMU 전략으로 가치 제고 시도
3-1. 해결 방안: 혜택 중심에서 참여 중심의 생태계 구축 및 IP를 활용한 OSMU 전략 모색
3-2. 벨리곰: 폴리곤 마이그레이션, 체인링크 파트너십, 솜(SOM)과 젤리(Jelly) 도입
3-3. 푸빌라: 수정구슬 NFT 출시로 단기적인 관심 회복, 다만 추가적인 개선 작업은 필요할 것으로 예상
맺으며: 국내 NFT 시장의 미래는?
들어가며
홈쇼핑의 모바일화와 MZ세대의 쇼핑 행태 변화 대응을 위해 다수의 기업이 MZ세대를 겨낭한 사업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 기업들은 Web3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세대와 MZ세대를 대상으로 NFT를 사업 확장, 브랜드 이미지 제고,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
이를 증명하듯, 2022년 중순 롯데홈쇼핑과 신세계백화점이 각자의 브랜드 캐릭터를 이용하여 멤버십 형태의 NFT를 선보였으며, 두 기업 모두 기존의 운영 방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벨리곰은 폴리곤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며 생태계 포인트 및 새로운 형태의 NFT를 도입하고 있으며, 푸빌라도 생태계 확장을 위해 신규 NFT 발행을 예고하였다. 비록 최근 실적은 부진하나, 두 기업 모두 충분히 경쟁력 있는 글로벌 NFT 프로젝트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글을 통해 국내 NFT 시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1. 롯데와 신세계, 자체 IP 활용하여 NFT 시장 진출
1-1. 롯데: MZ세대를 겨냥한 벨리곰(Bellygom) 출시
벨리곰은 2018년 롯데홈쇼핑 캐릭터 사업팀이 기획한 캐릭터로, MZ세대에 홈쇼핑의 매력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하였다. 롯데홈쇼핑은 롯데의 이미지를 벨리곰에 투영시키지 않고 캐릭터 자체를 홍보하기 위해 홈쇼핑에 캐릭터를 직접 노출시키는 대신, 몰래카메라 컨셉의 유튜브 비디오 콘텐츠를 통한 홍보 전략을 채택했다. 롯데홈쇼핑의 이러한 전략은 성공했고, 약 6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면서 벨리곰은 성공적인 캐릭터 IP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후 2022년 8월, 롯데홈쇼핑은 벨리곰 캐릭터의 IP를 활용하여 FSN의 자회사인 핑거버스와 협업, 총 10,000개의 멤버십 NFT를 민팅하였다. 벨리곰 NFT 소유자는 롯데의 호텔, 백화점, 시네마, 놀이공원 등에서 NFT 등급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