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글의 KBW 2023: Impact 방문기

user-image
+1
강동현외 1명
Research Analyst/
Xangle
2023.09.07

쟁글의 KBW 2023: Impact 방문기

목차

1. 들어가며

2. 규제

3. 어돕션

4. 크로스체인

5. 레이어1, 2

6. 맺으며

 

 

 

1. 들어가며

쟁글 리서치팀은 지난 9월 5일과 6일 양일간 열린 국내 최대의 블록체인 컨퍼런스 KBW 2023의 메인 이벤트인 Impact에 참여했다. 작년 5월 테라 사태 이후로 기나긴 크립토 윈터를 겪고 있음에도 여전히 크립토에 대한 강한 믿음을 지니고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연사들의 인사이트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특히 Regime Change를 주제로 키노트 스피치에 나섰던 맬스트롬의 아서 헤이즈는 고금리가 유지되고 있는 거시경제 환경 속에서 법정화폐의 한계가 드러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에 따라 금리 인하가 없더라도 비트코인 강세장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크립토 시장에 대한 확신을 드러냈다. 이외에도 수많은 연사들이 규제, 어돕션, 크로스체인, 레이어 1&2 등 다양한 주제로 인사이트를 공유했는데, 이번 방문기를 통해 개별 세션에서 다뤄진 주요 논의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2. 규제

크립토 규제 프레임워크: 앞서 나가는 아시아 국가들

컨퍼런스의 첫째 날에는 여러 세션을 통해 크립토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인사이트가 공유되었다. Regulatory Landscape from US to Asia 세션에서는 미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 당국이 크립토 규제에 접근하는 방식과 바람직한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해당 세션에서 코인데스크의 에밀리 파커는 EU의 MiCA와 더불어 아시아 국가들이 크립토 규제의 선두주자가 되고 있음을 전했다. 특히 미국이 SEC와 CFTC와 같은 다양한 기구들이 관할 경쟁을 하며 규제 프레임워크를 파편화해 접근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일본과 홍콩에서는 단일 기구를 통해 크립토 산업 규제에 접근함으로써 시장 참여자들에게 일관적이고 명료한 시그널을 보내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근무하기도 했던 테라넷 벤처스의 캐럴 하우스는 바람직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의 크립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역설했다. 하우스는 현재 미국의 규제담당자의 다수가 크립토를 그저 사기의 한 종류로 치부하고 관리해야 할 대상으로만 여기고 있다고 전했고, 이를 해결하고 올바른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업계에서 적극적으로 당국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CFTC: 향후 2년 내로 가상자산 규제 표준 만들 것

CFTC: 향후 2년 내로 가상자산 규제 표준 만들 것

이틀 차에는 미국의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캐롤라인 팜 위원도 세션에 참석했다. 세션에서 팜 위원은 향후 2년 내로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 표준을 만들 것이며, 10월 5일에는 첫 가상자산 권고안이 발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CFTC에서는 올해 초부터 디지털 자산을 위한 부위원회(SubCommittee)를 구성했으며, 자신이 부위원장으로 근무한다고 언급했다. 팜 위원은 디지털 자산이 모두 증권성 자산인 것은 아니며, NFT, 유틸리티 토큰 등과 같은 비증권성 자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증권만을 감독하는 SEC만큼 CFTC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CFTC의 태도에서 유추해 봤을 때, 향후 SEC와 CFTC의 가상자산 규제 권한에 대한 힘겨루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SEC는 소송을 통해 법원의 판단에 기대하는 모습이라면, CFTC는 조용히 규제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어떤 기관이 규제 권한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서클(USDC): 2025년 쯤 규제가 마련되어 매스 어돕션이 시작될 것

둘째 날 패널로 참석한 서클의 CEO 제레미 알레어는 블록체인 금융 시스템이 기존 금융 시스템과 원만하게 융합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USDC는 규제당국과 정부와 긴밀하게 협조하고 정책을 준수하며 투명한 자산이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스테이블코인이 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Allaire는 지난 9년 간의 크립토 규제 속도에 비해 최근 1년 간의 규제 속도가 더욱 빠르며, 2025년에는 디지털 자산이나 시장 규제가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법적 근거들이 마련이 된다면, 진정한 매스 어돕션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3. 어돕션

일본 대기업의 Web3 어돕션: 강력한 IP와 완화될 규제를 바탕으로

첫째 날, Evolving of Enterprise Adoption in Japan 세션에서는 소니뱅크, NTT, SBI와 같은 일본 대기업의 Web3 자회사들이 참여하여 일본 대기업들의 Web3 진입 현황에 대해 공유했다. 우선 세 기업 모두 Web3가 향후 10년간의 성장을 담당하는 한 축이 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일본의 대표적인 통신사인 NTT의 경우 양적 성장 없이 비용 지출만 늘어가며 하락세를 맞이하고 있는 일본의 통신 산업을 거론하며 Web3를 통해 기업 차원에서의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STO 플랫폼인 Securitize와 연계하여 대출상품을 토큰화한 경험이 있는 소니뱅크는 추후 금융상품뿐만 아니라 소니 그룹이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영역 전반에 보유하고 있는 IP를 토큰화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IP 강국인 일본이 갖는 강점을 적극 활용하여 리테일 투자자를 STO 시장에 진입시키는 것이 목표임을 강조했다.

일본 대기업의 Web3 어돕션: 강력한 IP와 완화될 규제를 바탕으로

같은 날 열린 Cryptocurrency Adoption in Japan: Trends and Predictions 세션에서는 VC인 헤드라인과 일본의 대표적인 Layer1 블록체인인 오아시스와 아스타가 참여하여 일본 Web3 시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해당 세션에서는 일본 정부의 Web3 진흥 정책과 규제 완화가 일본에서의 어돕션의 기초가 되고 있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헤드라인에서는 미국의 SEC가 크립토 시장을 규제하려는 움직임만을 보이는 것과는 달리 일본 정부는 Web3 백서를 발행하고 법인세를 개편하여 자기 발행한 토큰의 미실현 이익에 대한 과세를 면제하는 등 Web3 생태계를 부흥시키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더해 타 회사 발행 토큰의 보유세 또한 면제하거나 가상자산 관련 개인 소득세 또한 감면하는 법안이 논의되고 있고 이러한 제의가 통과된다면 일본에서의 Web3 어돕션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일본의 Web3 어돕션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쟁글 오리지널 ‘일본 블록체인 산업의 개화’와 ‘Xangle X CMC Live Recap: 한국/일본에서의 Web3 어돕션’를 참고해도 좋다.

 

서클(USDC): 스테이블코인 어돕션은 B2C 서비스에서 시작될 것

서클(USDC): 스테이블코인 어돕션은 B2C 서비스에서 시작될 것

둘째 날 패널로 참석한 서클의 CEO 제레미 알레어는 스테이블코인의 매스 어돕션이 게임, 핀테크, 전자상거래 등 B2C 서비스 기업에서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레어는 해당 기업들은 복잡한 거래 방식 등에 의한 비용 지출에 지쳐있으며, 이를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USDC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파이와 결제 플랫폼 비자가 USDC를 시범 도입하는 데 성공하며 결제 생태계를 확장 중이다. 알레어는 이러한 예시들을 통해 USDC가 향후 스테이블코인의 결제 어돕션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세션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미래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알레어는 여러 국가의 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중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가장 신뢰받는 자산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달러가 기존에 가지는 신뢰성과 안정성을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이다. 알레어는 현재 USDC의 70%가 미국 외 국가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근거로, 향후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4. 크로스체인

악셀라: 멀티체인은 체인 간 수평적 확장 및 TAM 확장을 위해 필수적

코스모스 크로스체인의 핵심 프로젝트인 악셀라 네트워크는 KBW에서 같은 브릿지 프로토콜인 소믈리에 파이낸스, 그리고 코스모스 레이어 1인 아치웨이(Archway)와 멀티체인의 필요성과 그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논의에서 멀티체인이 필요한 이유로, 하나의 블록체인에는 블록스페이스와 트랜잭션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반드시 체인 간 수평적인 확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개발자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TAM(Total Available Market)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멀티체인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다만 현재 크로스체인 디앱의 한계로는 멀티체인 디앱 생성에 상당한 가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꼽았다. 예를 들어 한 체인에서 크로스체인 스왑을 실행한다면, 그때 여러 체인에 분포한 여러 개의 자산의 오라클 가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슬리피지가 극도로 높아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지점이 개발자 입장에서는 크로스체인 생태계로 온보딩하는 데 복잡성이 증가하여 진입장벽으로 느껴지게 된다고 언급하며 세션을 마무리했다.

 

레이어제로: 스타게이트를 바탕으로 다양한 크로스체인 디앱을 준비 중

레이어제로: 스타게이트를 바탕으로 다양한 크로스체인 디앱을 준비 중

현재 크로스체인 계의 강자, 레이어제로는 단독 발표 세션을 가졌다. 먼저 레이어제로는 불변성과 무허가성, 검열 저항성을 최우선으로 블록체인 계의 TCP/IP를 꿈꾼다고 언급했다. 레이어제로는 스타게이트를 통해 레이어 0의 개념이 탄생을 알렸으며, 스타게이트는 현재도 옵티미즘과 아발란체를 필두로 자체 브릿지와도 경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레이어제로는 대표적인 사용 사례인 스타게이트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덕트를 출시하며 생태계 확장에 힘쓰고 있다고 발표했다. 대표적으로 여러 블록체인에 네이티브 토큰 역할을 하는 OFT(Omnichain Fungible Token)와 유동성 레버리지 등 디파이와 핀테크에서도 향후 활용이 가능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OFT 등 스타게이트의 다른 프로덕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쟁글의 ‘레이어제로 리서치’ 참고)

 

5. 레이어 1, 2

수이: MOVE와 수이만의 계정 구조로 EVM 생태계에 도전하다

둘째 날 세션에 참석한 수이는 자체 개발언어 MOVE와 수이만의 독특한 계정 생성 방식을 통한 EVM 생태계 도전에 대해서 설명했다. 수이는 솔리디티, 러스트 등 그동안의 Web 3개발언어를 면밀히 검토한 끝에 자체 개발 언어인 MOVE를 만들었다고 이야기했다. MOVE는 러스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에 전통 개발언어와 유사해 Web 2 개발자들의 온보딩이 더욱 용이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이는 객체 지향 언어 모델 방식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계정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드의 길이가 짧아져 버그 발생의 가능성을 낮추는 점도 MOVE의 또 하나의 장점이라고 언급했다.

수이는 또한 계정 구조가 기존 EVM 생태계와 차별화되는 점을 수이의 또 다른 강점으로 꼽았다. 수이는 기존 EVM 생태계의 지갑은 이미 ‘고장’난 상태라고 언급하며, 다음 사이클을 위해서는 더 많은 유저를 온보딩할 수 있는 계정 구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수이는 ZK 기술을 이용해 이메일을 통한 소셜 로그인을 이미 구현했으며, 이를 통해 유저들이 Seemless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아직 수이는 메인넷이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 개선이 많이 필요하다는 점은 고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먼저 수이는 개발자 툴과 같은 매스 어돕션의 툴링 측면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또한 EVM에 비해 부족한 개발자 생태계의 확장을 위해 한국, 싱가포르를 비롯한 세계 각지에 수이 빌드 하우스를 만들며, 기여에 대한 확실한 Grant를 약속하며 세션을 끝마쳤다.

폴리곤, 스크롤: zkEVM에게 필요한 것은 최적화와 성능 개선

이더리움의 대표적인 ZK 솔루션들인 폴리곤 랩스와 스크롤은 패널 세션에 참석하여 zkEVM의 발전을 위해서는 최적화와 성능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크롤은 이러한 이더리움 레이어 2 프로젝트를 “비행기가 날고 있는데, 비행기를 고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두 프로젝트 모두 아직 zkEVM은 갈 길이 멀다는 데에 입을 모았다. 아직 개발 환경과 가스비 등에서의 최적화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성능 또한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두 프로젝트는 모두 이러한 최적화와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최소 3~4년의 시간은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스크롤은 레이어 2 개발자들이 겪는 대표적인 병목 현상 중 하나로 브릿지를 언급했다. 현재 스크롤은 테스트넷에서 활발하게 개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나, 이를 이더리움 생태계와 연결하는 브릿징에는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자원과 시간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아직 스크롤은 테스트넷 단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관대하지만, 올해 하반기에 메인넷 출시를 한다면 사용자들의 자산이 직접 연관되기 때문에 더이상 관대함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폴리곤은 zkEVM 메인넷을 이미 출시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유지해야 된다는 것이 또 다른 부담이라고 언급했다. zkEVM이 개발자들에게 최대한 이더리움 환경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는데, 폴리곤의 경우 이를 메인넷이 원활히 작동하는 상태에서 개선해야 한다는 점이 큰 부담인 것이다. 또한 폴리곤 zkEVM의 경우 Prover들이 상당량의 메모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최적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KBW에서 만난 zkEVM은 아직 미완성의 기술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1kx가 “옵티미스틱 롤업들은 장기적으로는 zk 롤업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한 것처럼, zkEVM은 모든 롤업에 있어서 장기적인 지향점이 됨은 분명할 것이다.

6. 맺으며

쟁글 리서치에서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방문한 KBW의 열기는 여전히 뜨거웠다. 앞으로 다가올 크립토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부터 Web3 대중화를 앞당길 다양한 어돕션 케이스들과 대중화를 위한 근간이 될 인프라에 대한 논의까지 활발한 인사이트 공유가 이루어졌다. 특히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던 작년에 비해 크립토 규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것으로 볼 때, 변하고 있는 규제 환경 속에서 향후 제정될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인 이벤트인 Impact 뿐만 아니라 100여 개가 넘는 사이드 이벤트에 많은 프로젝트와 빌더, 투자자가 참여하며 장기간 침체되어 가고 있는 시장 상황 속에서도 크립토 시장의 미래를 기대하게 만들었다. 작년 쟁글의 KBW 2022 Impact 방문기에서는 크립토 윈터 속에서 서비스를 BUIDL하여 대중에게 선택받는 프로젝트가 나오길 바라며 글을 마무리 했었다. 1년이 지난 지금, KBW 2023에서는 아직은 대중에게 선택 받는 프로젝트를 찾아볼 수 없었지만, 침체된 시장 속에서도 여전히 BUIDL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2024년에는 대중에게 조금 더 가까워지고 강한 임팩트를 남길 프로젝트를 기대하며 쟁글의 KBW 2023: Impact 방문기를 마친다.

 

주의사항
본 글에 기재된 내용들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크로스앵글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글은 투자 자문이나 투자권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 투자 및 투자전략, 또는 기타 상품이나 서비스 사용에 대한 결정 및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며 투자 목적, 개인적 상황, 재정적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금융관련 전문가를 통해 확인하십시오. 과거 수익률이나 전망이 반드시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제작 자료 및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자사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저작권에 위배되는 편집이나 무단 복제 및 무단 전재, 재배포 시 사전 경고 없이 형사고발 조치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