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재원 (포뇨)외 1명
Research Team Lead/
Xangle2023.04.19
Key Takeaways
- 핀시아 기여보상 정책은 1) 서비스 기여자의 자격요건과 2) 서비스 기여의 정의, 그리고 3) 보상 지급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번 정책의 핵심은 ‘선 기여, 후 보상’ 기조
- 이번 정책을 통해 핀시아 재단의 1) 향후 LINK 등의 크립토 자산을 결제 통화로 사용, 2)온체인 기여가 불명확한 인프라는 다른 방식으로 개발, 3)서비스 품질관리를 통한 평판 리스크 관리에 대한 의중을 알 수 있음
- 다만, 1) 인프라 구축과 2) Killer dApp의 온보딩이 늦어지는 점은 여전히 숙제
목차
1. 들어가며
2. 핀시아 기여보상 정책 간단 정리
2.1. 서비스 기여자 자격 요건
2.2. 서비스 기여 정의
2.3. 보상 지급 정책
3. 이번 정책을 통해 짐작 가능한 핀시아 재단의 의중
3.1. LINK 포함한 크립토 자산을 페이먼트 통화로 활용
3.2. 온체인 기여가 불명확한 인프라는 다른 방식으로 개발
3.3. 서비스 품질 관리를 통한 평판 리스크 최소화
4. 맺으며
4.1. 늦어질 인프라 구축
4.2. Killer dApp 유치의 어려움
1. 들어가며
라인링크에서는 4월 17일 핀시아 재단 설립 발표와 함께 토크노믹스 2.0의 핵심인 핀시아 기여보상 정책을 공개했다. 라인링크가 일전에 제로 리저브 정책을 천명한 만큼, 이번 기여보상 정책은 라인링크의 토크노믹스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핀시아 재단의 핀시아 기여보상 정책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하고, 이번 기여보상 정책을 통해 라인링크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라인링크의 제로 리저브 정책에 대한 리서치는 쟁글의 <라인링크, 제로 리저브 시대를 열다>를 참고>
2. 핀시아 기여보상 정책 간단 정리
핀시아의 기여보상 정책은 세 파트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정책에서는 1) 서비스 기여자의 자격 요건, 2) 서비스 기여의 정의, 3) 보상 지급 정책, 총 세 가지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1. 서비스 기여자 자격 요건
먼저 서비스 기여자의 보상을 받기 위한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다.
- 서비스 기여자로 지원 → 핀시아 재단의 심사 → 서비스 기여자로 등록
즉, 핀시아에서 서비스 기여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재단의 심사를 통과해야만 활동이 가능하다. 이는 옵티미즘의 화이트리스트 제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핀시아 생태계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퀄리티 컨트롤 차원에서 나온 아이디어로 보인다. 특히, 일전에 오픈 생태계를 표방했던 클레이튼이 다수의 스캠 프로젝트들로 인해 회사의 평판에 타격을 입었던 모습을 봤기 때문에, 핀시아 재단이 이런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