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image
이주원 (Irene)
Research Analyst/
쟁글
2024.11.15

목차

1. 들어가며: 확장성 너머, 신뢰성을 위한 증명 체계의 진화
1-1. 기존 ZK 증명의 한계
1-2. 스타크넷, STARK 증명으로 차세대 L2의 표준을 제시하다

2. 스타크넷, 성능과 사용성을 겸비한 신뢰 높은 롤업 솔루션
2-1. 오랜 기간 신뢰받아온 STARK 기반의 독자적 기술
2-2. 사용자 중심의 기술 발전과 로드맵: 더 빠르고 쉬운 L2 경험
2-3. SDK와 zkEVM으로 개선될 Cairo 개발 환경
2-4. 유연한 레이어 조합으로 서비스 맞춤형 앱체인 구축

3. 기술력과 사용성을 기반으로 확장되는 스타크넷 생태계
3-1. 생태계 캠페인과 비트코인 생태계 확장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를 지향
3-2. 주목할 만한 DApp들과 발전 중인 스타크넷 생태계
3-3. 토크노믹스와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

4. 마치며: 신뢰도 높은 기술로 롤업 혁신을 이끄는 스타크넷

 

 

1. 들어가며: 확장성 너머, 신뢰성을 위한 증명 체계의 진화

1-1. 기존 ZK 증명의 한계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다양한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레이어 1 생태계를 구축했다. 그러나 이더리움은 확장성 한계로 인해 트랜잭션 처리 속도 저하와 높은 가스비 문제가 발생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어 2 솔루션이 등장했다. (레이어 2 솔루션은 메인 블록체인(레이어 1)의 처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레이어 2 중에서도 롤업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롤업은 다수의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한 후 압축된 결과와 검증 데이터를 온체인에 기록하여 확장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ZK 롤업은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으로 트랜잭션 유효성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여 높은 보안성과 실시간 검증이 가능해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대규모 채택을 지원할 최적의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SNARK(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는 ZK 롤업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영지식 증명 방식으로, 빠른 검증과 데이터 압축이 가능해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채택되었다. 그러나 SNARK는 신뢰 설정(trusted setup)을 필요로 한다. 이는 증명 생성자와 검증자 사이에 트랜잭션 검증에 필요한 공개 키와 비밀 키를 초기 설정 단계에서 생성하는 과정이다. SNARK 방식은 이해하기에 간단하지만 중앙화 문제와 더불어 비밀 키가 유출되거나 악용될 경우, 잘못된 트랜잭션도 검증을 통과할 위험이 있어 보안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왔다. 또, SNARK는 정수론 기반의 복잡한 암호화 연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처리하는 트랜잭션 수가 많아질수록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검증 비용이 증가하는 한계를 가져 대규모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 있어 확장성 측면에서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SNARK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STARK(Scalable Transparent ARgument of Knowledge) 방식이 등장했다.

STARK 방식을 사용한 증명은 해시 함수 기반의 공개 매개변수(public parameters)를 사용하여 신뢰 설정이 필요 없도록 설계되었다. 즉 SNARK와 달리 STARK는 비밀 키 생성 없이도 해시 함수와 대칭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유효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STARK는 특정 초기 설정 없이도, 검증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어 보안성과 투명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STARK는 양자 내성을 갖추고 있어 미래의 양자 컴퓨터 공격에 대비되었다는 것도 주목할만하다. SNARK는 특정 암호화 기법에 의존하기 때문에 양자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보안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STARK는 해시 함수 기반의 설계를 통해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도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STARK는 대규모 트랜잭션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도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1-2. 스타크넷, STARK 증명으로 차세대 L2의 표준을 제시하다

스타크넷은 STARK 증명 방식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레이어 2 솔루션으로,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보안성(신뢰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다. 특히 STARK 증명의 창시자이자 StarkWare의 공동 창립자인 Eli Ben-Sasson 교수는 ZK 기술과 암호화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 성과를 쌓아온 인물로, 비탈릭 부테린 등 업계 주요 인사들에게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 StarkWare는 이러한 기술적 역량과 신뢰를 바탕으로 Sequoia, Paradigm, Pantera 등 주요 투자자들로부터 시리즈 D까지 총 2억 7천만 달러를 모금하였으며, dYdX와 Immutable X 같은 B2B 서비스에서 앱체인 구축을 지원하여 실제 구현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해 왔다. 이후 범용 ZK 롤업 솔루션인 스타크넷을 출시하며 블록체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차세대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려 한다.

스타크넷의 아키텍처는 STARK 증명의 효율적 처리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퀀서(Sequencer)와 증명기(Prover)가 상호 협력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시퀀서는 멤풀(Mempool)에서 수집된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순서를 정렬한 후, 이를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스타크넷 네트워크에 반영한다. 생성된 블록은 증명기(Prover)에 의해 Cairo VM에서 실행되어 STARK 증명이 생성되며, 이 증명은 이더리움 레이어 1에 배포된 검증기(Verifier) 스마트 컨트랙트로 전송되어 최종 검증을 받는다. 검증이 완료되면 스타크넷의 상태는 스타크넷 코어 (Starknet Core)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기록되어 신뢰성과 보안성이 보장된다. 이 구조는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압축 처리하고 이더리움엔 필요한 정보만 기록하기 때문에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이러한 아키텍처에 더해, 스타크넷은 ZK 증명 최적화를 다각도로 실현하고 있다. STARK 증명 방식은 신뢰할 수 있는 초기 설정 없이도 대규모 트랜잭션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무허가형 검증 환경을 제공하며, ZK 검증에 최적화된 Cairo 언어는 개발자들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스타크넷은 최대 857 TPS라는 뛰어난 성능을 달성해 ZK 롤업 중에서도 최상위의 효율성을 보여줬다. 이로써 스타크넷은 대규모 애플리케이션과 폭넓은 사용자 기반을 저비용으로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며,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서 확장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차세대 ZK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 스타크넷, 성능과 사용성을 겸비한 신뢰 높은 롤업 솔루션

2-1. 오랜 기간 신뢰받아온 STARK 기반의 독자적 기술

스타크웨어(StarkWare)는 스타크넷을 출시하기 전부터 STARK 증명과 다양한 확장성 솔루션을 통해 업계 내 신뢰를 쌓아왔다. 특히 StarkEx는 StarkWare가 설계한 권한 기반 맞춤형 확장 엔진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한 요구 사항에 맞춘 최적화된 롤업 솔루션을 제공해 많은 사용사례를 만들어 왔다. StarkEx를 통해 dYdX(파생상품 거래), Immutable X(NFT 발행 및 거래), rhino.fi(디파이 플랫폼)와 같은 주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StarkEx를 활용하여 독자적인 롤업으로 확장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었다. 실제로 dYdX는 StarkEx 통합을 통해 거래 수수료와 최소 거래 크기를 대폭 낮추고, 즉각적인 거래 체결과 실시간 잔액 업데이트가 가능해져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 DEX로 유명했다. 이런 성공 사례들을 바탕으로 StarkEx는 약 1조 달러의 누적 거래량, 5억 7천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 1억 2천만 개 이상의 NFT 발행을 처리하며, StarkWare의 STARK 기술이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보안을 강화하는 데 최적화된 엔진임을 입증했다. 이후 스타크넷의 출시와 함께, StarkWare는 STARK 증명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생태계의 확장성과 보안 문제를 해결하며, 네이티브 계정 추상화(Native Account Abstraction), 개발 도구와 SDK 지원 등의 기존 이더리움 및 레이어 2의 한계점을 개선하며 자체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2-2. 사용자 중심의 기술 발전과 로드맵: 더 빠르고 쉬운 L2 경험

스타크넷은 최근 857 TPS를 처리하며 ZK롤업으로는 이더리움의 처리 용량을 유의미하게 확장해 주목받았고, 계정 관리 측면에서도 사용자 경험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스타크넷에서는 Native Account Abstarction을 구현하여 모든 계정이 본래부터 AA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계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는 기존 이더리움의 계정 방식과 달리, 모든 사용자가 스마트 컨트랙트 계정을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공개키와 개인키에만 의존하지 않고도 안전한 자산 관리와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전통적인 이더리움 계정 구조인 EOA (Externally Owned Account)는 각 계정이 키 페어를 통해 소유 및 권한이 인증된되는 방식이다.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는 사전에 설정된 개인 키가 반드시 필요하며, 자산을 이동하거나 소유권을 변경하려면 올바른 서명이 필요하다. 그러나 스타크넷의 추상화된 계정 모델에서는 키 대신 계정 주소(공개된 주소 자체)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즉, 트랜잭션의 유효성은 서명 방식이 아닌 해당 계정 주소에서 오는 것이 확인되면 충분하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면서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는 데 유리하다.

비자의 자체 수탁형 지갑 결제 솔루션 실험

이러한 이유로, 비자(Visa)는 스타크넷의 NAA 기능에 매력을 느껴 스타크넷 상에서 자체 수탁형 지갑을 위한 자동 결제 솔루션을 실험했다. 비자의 솔루션은 계정 위임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자산을 안전하게 보유하면서도 자동 결제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스타크넷의 계정 모델 덕분에 가능해진 것으로, 기존 이더리움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이었다. 이로써 스타크넷은 기존 블록체인 인프라의 한계를 극복하며 Web2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스타크넷의 발전 로드맵 또한 성능과 UX를 함께 고려한 업데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2024년 3분기에는 병렬 처리와 블록 패킹 기술을 도입하여 TPS(초당 트랜잭션 처리량)가 857건에 도달해 유의미한 성과를 이뤄냈다. 블록 생성 시간과 확정 시간을 단축하고, 개발자들에게는 더 유연한 스토리지 옵션과 데이터 구조를 제공해 사용자들에게 더 빠르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개발자 경험(DX) 역시 향상되었다. 이어 2024년 4분기에는 $STRK 토큰 스테이킹과 수수료 최적화를 위한 Stateless Compression(상태 없는 압축) 기능을 추가하여 탈중앙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2024년 1분기에는 Stateful Compression(상태 유지 압축)을 도입하여 수수료 절감과 UX 향상을 목표로 하고, Cairo 프로그래밍 언어의 LLVM 전환을 통해 성능과 개발자 경험을 한층 더 높이는 업데이트가 계획되어 있다. 2024년 2분기에는 2초 블록 타임을 달성하여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더욱 개선하고, 분산 시퀀서 아키텍처를 도입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탈중앙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후에는 가스비 없는 트랜잭션 처리와 유연한 데이터 저장 방식을 통해 사용자들과 개발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추가하여 지속적으로 UX와 DX를 개선해 나갈 것이다.

2-3. SDK와 zkEVM으로 개선될 Cairo 개발 환경

스타크넷의 주요 개발 언어인 Cairo는 STARK 기반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로, 복잡한 프로그램 로직을 간단히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에 내장된 특성으로 인해 자동으로 증명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발자는 증명 과정의 최적화라는 복잡한 단계에 신경 쓰지 않고, 핵심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Cairo는 STARK 증명을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새로운 언어로, 개발자들이 새롭게 학습해야 하지만 Rust와 유사한 문법을 사용하여 적응을 돕는다. 솔라나(Solana)와 코스모스(Cosmos)처럼 EVM과 다른 개발 환경에 익숙한 개발자들은 Rust와 같은 저수준 프로그래밍 언어 문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개발자 온보딩의 난이도를 완화하려는 시도가 반영된 것이다.

스타크넷은 Cairo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도 다양한 SDK와 개발 도구를 통해 손쉽게 온체인 통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폭넓은 지원 환경을 제공한다. Starknet.js, Starknet.py, Starknet.rs 등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는 SDK는 Golang, Python, JavaScript, Rust, JVM (Java, Kotlin), Swift, Dart 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인기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거의 지원해 개발자가 익숙한 언어로 dApp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Vue.js, NextJS Scaffold와 같은 템플릿은 프론트엔드와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을 간소화하며, Open Zeppelin Contract Wizard와 Remix 같은 도구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과 배포를 용이하게 한다. 오라클 솔루션으로는 Chainlink, Pyth, Pragma 등이 지원되어 외부 데이터 연동이 필요한 dApp에 안정적인 데이터 접근을 제공한다.

Kakarot zkEVM은 솔리디티에 익숙한 개발자들이 기술 스택을 크게 바꾸지 않고 스타크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확장성과 호환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Cairo 언어로 만들어진 EVM 호환 가상 머신인 Kakarot은 EVM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Cairo에 대한 추가 학습 없이도 그대로 스타크넷에서 실행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즉 이더리움이나 폴리곤 등 EVM 생태계에서 Solidity로 작성된 기존 스마트 컨트랙트를 수정 없이 배포할 수 있어, 개발자들이 익숙한 도구와 방식으로 쉽게 작업할 수 있다. Kakarot의 로드맵은 2024년 Starknet 메인넷에서 MultiVM을 시작으로, 2025년 ZK-EVM 앱체인과 이더리움 호환 체인의 블록 증명 기능을 도입하고, 2026년에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도 ZK-EVM 기술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akarot zkEVM은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되어 유지보수와 감사가 용이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확장성과 EVM 호환성을 지원한다. 특히 Starkware의 STWO 증명기와 결합하여 하나의 증명 엔진(Proving Engine)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최적의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발휘하는 ZK 증명 성능을 제공한다. 이 결합된 증명 엔진은 이더리움 레이어2뿐만 아니라 멀티체인 환경, ZK 기반 앱체인들(zk-appchains), 비트코인 네트워크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어, 여러 네트워크 간의 원활한 상호운용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Kakarot zkEVM은 다양한 블록체인 환경에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어, 테스트넷에서 100만 개 이상의 트랜잭션과 10만 개 이상의 지갑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정도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 구축과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통해, 스타크넷 생태계의 개발자 수와 커밋 수는 매년 뚜렷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2020년 166명의 주간 평균 개발자 수는 2024년 11월 현재까지 1,183명으로 증가했으며, 주간 평균 커밋 수 역시 25개에서 193개로 확대되었다. 해당 지표는 스타크넷이 빌더 생태계를 견고히 구축해 가고 있음을 의미하며, 앞으로 zkEVM 로드맵이 잘 진전된다면 기존 EVM 기반에서 활발히 운영 중인 어플리케이션들과 개발자, 유저들도 더욱 쉽게 온보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4. 유연한 레이어 조합으로 서비스 맞춤형 앱체인 구축


또한 스타크넷은 특정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독립적이고 맞춤화된 블록체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앱체인(Appchain) 및 L3 개념을 도입했다. Madara는 Cairo 언어 기반의 ZK 증명 기능과 강력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는 모듈식 앱체인 프레임워크로, 앱체인으로 주목받은 폴카닷이 사용한 Substrate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유연성과 확장성을 극대화하는 설계를 갖추고 있다. Madara는 앱체인 VM,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DA Layer), 증명 레이어(Prover), 그리고 결제 및 합의 레이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Cairo VM과 같은 Cairo 기반 환경을 비롯해 다양한 VM 선택 옵션을 제공하며, Celestia, Avail 등 다양한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의 유연한 관리와 신뢰성을 지원한다. 또한, STONE, PLATINUM과 같은 Prover를 통해 체인 간의 일괄 증명(batch proof)이 가능하여 검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효율 구조를 제공하며, 결제 레이어는 이더리움과 스타크넷을 활용한 이중 결제 옵션을 제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Madara의 모듈식 아키텍처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와 맞춤형 설정을 통해 확장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데이터 가용성, 검증 비용 절감, 체인 간 조합성 등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여, DeFi, 게임, 금융 등 높은 트랜잭션 처리량과 실시간 응답성이 필요한 분야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금융, 게임 등 웹2 서비스들에서 Web3 확장이 일어나며 앱체인을 선택하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Madara는 ZK 기술 기반의 효율적 증명 기능을 지원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체인 구성을 쉽게 가능하게 해 스타크넷 생태계 확장에 추후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기대된다.

 

3. 기술력과 사용성을 기반으로 확장되는 스타크넷 생태계

3-1. 생태계 캠페인과 비트코인 생태계 확장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를 지향

스타크넷은 DeFi Spring, Catalyst 등의 대규모 생태계 캠페인을 통해 개발자와 사용자 유치를 강화하고 있다. 그랜트 프로그램은 크게 Seed 단계와 Growth 단계로 보조금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성장 단계의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Catalyst 프로그램은 약 2천만 $STRK의 규모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의 발굴은 물론 기존 dApp의 발전을 촉진하고, 스타크넷 생태계의 다양성과 활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캠페인들은 스타크넷을 더욱 풍부하고 포괄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로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스타크웨어는 스타크넷을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네트워크로도 확장하기 위해 OP_CAT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OP_CAT은 비트코인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술로, 2010년에 비활성화되었던 해당 기능이 다시 도입되면 비트코인에서도 복잡한 스크립트와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이 가능해진다. 스타크웨어는 OP_CAT의 도입 후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STARK 증명 기술을 적용하여 확장성과 보안성을 강화하고, 비트코인과 스타크넷 간의 안전한 자산 이동을 지원하는 레이어 2를 구축해 스타크넷을 포함한 STARK 생태계에 활기를 불어넣을 예정이다. 스타크웨어는 OP_CAT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최근 100만 달러의 기금을 마련했으며, 이더리움을 넘어 비트코인에서도 사용자 베이스를 넓혀나갈 계획을 밝혔다. 비트코인은 전체 마켓캡 1위로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으며, 이더리움에 비해 초기 단계인 비트코인 레이어 2 생태계에서 스타크넷이 선도적 역할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3-2. 주목할 만한 DApp들과 발전 중인 스타크넷 생태계

스타크넷의 DApp 생태계는 현재 DeFi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스타크넷이 두 차례에 걸친 DeFi Spring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디파이 프로젝트를 온보딩한 결과이다. 디파이 외에도 스타크넷은 생태계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게임 위원회와 같은 생태계 캠페인을 통해 게임 프로젝트의 온보딩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Focus Tree와 같은 컨슈머 앱은 사용자들이 디지털 집중을 돕는 Web3 애플리케이션으로 실사용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ZK 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솔루션 Calimero와 AA 기술을 레버리지하는 스마트 지갑 솔루션들은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높은 보안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생태계 확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기도 하다.

다만, 주요 멀티체인 프로덕트들의 스타크넷 지원 상황은 아직 미진한 상태인데, 이는 프로덕트 입장에서 GTM이나 체인 확장을 위해 ZK 기술의 안정화와 구현 단계가 필요했던 것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스타크넷의 주요 개발 언어인 Cairo가 초기 온보딩에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Solana나 Aptos가 Rust 기반 생태계로 높은 커뮤니티 충성도를 구축한 사례처럼, Cairo 역시 개발 도구와 지원 인프라가 확충될 경우 비슷한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있다. 특히, Cairo는 Rust와 유사한 문법을 채택하고 있어 Solana, Aptos, Sui와 같은 Rust 기반 환경의 개발자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으며, ZK 최적화 언어로 설계되어 EVM 기반 체계 대비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트코인 생태계와의 협업이 활성화되고 생태계 캠페인으로 확장된다면 Starknet은 가장 큰 규모의 비트코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유동성이나 사용자 베이스 측면에서 스타크넷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ZK Rollup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개발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지 주목해야 할 것이다.

3-3. 토크노믹스와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

스타크넷의 토크노믹스 모델은 장기적인 생태계 성장과 안정성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올해 출시된 $STRK 토큰이 네트워크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STRK 토큰 홀더들의 커뮤니티 참여 거버넌스인 스타크넷 개선 제안(**SIP, Starknet Improvement Proposal)을 통해 최근 스테이킹 기능 도입이 승인되었으며, 2024년 11월 26일 메인넷에서 공식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이 스테이킹 기능은 스타크넷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토큰 홀더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긍정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으며, 도입 시 스타크넷은 Layer 2 솔루션 중 최초로 직접 스테이킹을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될 예정이다.

스타크넷 스테이킹 기능 출시

스테이킹 참여자는 검증자(Validator)와 위임자(Delegator) 역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검증자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20,000 $STRK 토큰이 필요하다. 위임자는 자신의 $STRK 토큰을 검증자에게 위임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으며, 위임자에 대한 보상은 스테이킹된 토큰의 양과 검증자가 설정한 수수료 정책에 따라 분배된다. 이 시스템은 $STRK의 장기 홀더와 검증자에게 추가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되기 때문에 토큰 가치의 안정성을 높아지고, 더 많은 검증 참여를 통해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 마치며: 신뢰도 높은 기술로 롤업 혁신을 이끄는 스타크넷

스타크넷은 STARK 기반의 검증된 영지식 증명 기술을 바탕으로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차세대 레이어 2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STARK 증명 방식은 신뢰할 수 있는 설정이 필요 없고 양자 내성까지 갖추어 보안성이 뛰어나며, 대규모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효율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되어 스타크넷과 개발사인 Starkware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스타크넷이 장기적인 생태계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재의 Catalyst와 DeFi Spring 같은 생태계 캠페인과 파트너십을 더욱 확장하고 성공시켜야 한다는 점이 있다. 이번에 새로운 이니셔티브인 비트코인 네트워크로의 확장은 스타크넷을 이더리움에 국한되지 않은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로 성장시킬 기회가 될 것으로, 검증된 기술력과 생태계 확장을 통해 차세대 롤업 솔루션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전략이 빛을 발하길 바란다.

주의사항
본 글에 기재된 내용들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크로스앵글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글은 투자 자문이나 투자권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 투자 및 투자전략, 또는 기타 상품이나 서비스 사용에 대한 결정 및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며 투자 목적, 개인적 상황, 재정적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금융관련 전문가를 통해 확인하십시오. 과거 수익률이나 전망이 반드시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Starknet의 요청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글의 모든 내용은 작성자가 독립적으로 작성했고, ㈜크로스앵글 또는 의뢰자는 내용이나 편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작성자는 본 글에 언급된 가상자산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본 제작 자료 및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자사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저작권에 위배되는 편집이나 무단 복제 및 무단 전재, 재배포 시 사전 경고 없이 형사고발 조치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