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COINBASE 로드맵
3. BASE 출시 배경
4. 롤업을 선택한 이유
5. BASE 온체인 현황
6. 맺으며
1. 들어가며
2019년 바이낸스를 시작으로 코인베이스, 바이빗, OKX 등 여러 거래소에서 자체 체인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거래소가 출시한 체인의 형태를 보면 모두 빠른 처리 속도와 비교적 저렴한 가스비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규모의 거래가 이뤄지고 있고 그에 따른 방대한 양의 데이터 저장과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 중 필자는 코인베이스의 Base체인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Base의 목적과 배경, 그리고 차별화 요소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2. COINBASE 로드맵
코인베이스의 출시 이유를 알아보기에 앞서 코인베이스의 기업 문화와 로드맵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코인베이스는 전세계 사용자들에게 경제적 자유를 제공하는 것을 미션으로 삼고 있으며, 후술할 비밀 마스터 플랜(secret master plan)을 전략으로 내세워 최고의 인재를 영입하는 문화를 지향하고 있다. 출시 초반에 공격적인 인재 영입을 했던 것도 이러한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코인베이스의 결정 사항들은 모두 CEO인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제시한 목표—단순 거래소에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자산 시장내 주요 플랫폼으로 거듭나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출처: The Coinbase Secret Master Plan
코인베이스가 확신하는 미래는 ‘블록체인이 전세계의 개방형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이고, 이러한 목표를 이루는 데에 있어 코인베이스가 나아갈 방향을 4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 1 단계 (프로토콜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로,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각 프로토콜을 후원하는 방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실현했다.
- 2 단계 (페이먼트 인프라 단계):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페이먼트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단계로, 2015년에 코인베이스 거래소 설립을 통해 실현했다. 또한, 해당 거래소 사업을 통해 창출한 수익으로 추후 3~4 단계에서 사용할 것임을 2016년에 명시했다.
- 3 단계 (소비자 인터페이스 단계): 가상자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대중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이며, 그 중에서도 사용자들의 지갑 사용에 대한 편리성을 보다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이루기 위해 지갑 프로젝트에 투자를 하거나 직접 지갑 서비스를 출시하겠다고 밝혔는데, 실제로 2023년에 지갑을 편하게 구축할 수 있는 SDK 및 API를 출시했다.
- 4 단계 (어플리케이션 개발 단계): 어플리케이션 단계에서는 기존 금융 시스템이 개방형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이를 위한 온체인 어플리케이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코인베이스는 4 단계 로드맵을 실현하기 위해 금융 규제 하에 관련된 회사를 인수하거나 투자 혹은 필요하다면 직접 개발할 의향도 있다고 밝혔다.
3. BASE 출시 배경
베이스 체인을 출시하게 된 배경은 위에서 제시한 로드맵의 네 번째 단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코인베이스는 중앙화 거래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금융 상품들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작동하기 보다는 기존 웹2 기업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코인베이스가 추구하던 개방형 시스템과는 거리가 멀었기에 코인베이스는 지갑 출시, cbETH 발행과 같은 온체인 금융 상품을 개발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