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스테이블코인, Web3.0의 미래를 열다

user-image
해시드오픈리서치
2023.10.17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10월 17일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목차

Executive Summary

크립토 결제 시장에 뛰어드는 기업들

Mass Adoption을 앞당기는 핵심 변수
1. 크립토자산으로 급여를 받는 사람들
2.모바일 앱으로 들어온 크립토자산 (Grab, PayPal)
3. 일본, 천조엔 결제시장 열린다

스테이블코인 성장이 기존 산업에 미칠 영향
1. 은행산업 영향
2. 카드산업 영향
3. 가상자산 거래소 영향 (CEX vs. DEX)
4. On-Chain 시장 영향 (유동성 효과, RWAs)

 

 

Executive Summary

  • 모바일 월렛으로 사용자 접근성지갑 거래 활성화 계기

    그랩, 페이팔 등 글로벌 이용자 기반을 갖춘 기업들이 앱 내 크립토 모바일 월렛 서비스 제공하기 시작. 개인키 대신 PIN CODE 설정으로 기존 개인지갑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접근성을 높임에 따라 제3자에게 자산을 맡기지 않고 스스로 보관하려는 수요 높아질 전망. 월렛 간 송금이 간편해지고 앱 내 주요 크립토자산 매매도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 거래소의 독점적 지위는 다소 약화될 소지
  • 스테이블코인 발행 증가로 On-Chain 시장 유동성 확대

    일본 자금결제법 개정으로 6월부터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해짐. 미쓰비시 신탁은행의 개별 프로젝트로시작된 Progmat사는 올해 10월 독립법인으로 분리. 일본 214개 기업과 컨소시엄 구성하는 등 토큰화 전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일본 등 금융기관을 통한 스테이블코인 발행 본격화되면서 On-Chain 시장 유동성과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확대, Staking·RWAs에 대한 관심 높아질 전망
  • 산업 간 경계 약화로 새로운 금융 · 경제 질서 마련될 전망

    HR 플랫폼 Deel에 따르면 크립토자산으로 급여를 받는 비중은 22년 하반기 총 급여의 4%기록. 금융인프라가 부족한 신흥국 근로자들이 다수. 크립토자산으로 급여를 받을 경우 은행 급여계좌 없이 개인지갑 주소만으로 수령 가능. 전세계 인구의 26% 차지하는 Digital Native 세대가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금융, 경제 질서 마련될 전망. 은행, 카드사 등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성장의 돌파구를 찾고 경쟁력 유지할 필요

 

크립토 결제 시장에 뛰어드는 기업들

거대한 Mass Adoption을 향한 여정의 시작

실생활에서 경험하는 크립토 경제

2022년 테라-루나 사태와 FTX 거래소 파산, 2023년 실버게이트, SVB 은행 연쇄 파산 등을 겪으며 크립토 시장은 말 그대로 ‘인고의 시간’을 지나고 있습니다. Coingecko 기준 글로벌 크립토자산의 총 시가총액은 2021년 11월 2.8조 달러로 정점을 기록한 후 약 2년이 흐른 현재(10/17) 1.1조 달러로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격 흐름과 달리 최근 블록체인 산업에서는 역사적으로 분기점이 될만한 중요한 시도들이 있었고, 이번 보고서에서는 이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최근의 변화들은 향후 크립토 경제 Mass adoption을 앞당긴 계기들로 기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동안 Mass Adoption이 현실화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형 가산자산 거래소의 파산으로 제3자 수탁에 대한 불신이 높아졌고 개인 스스로 자산을 관리하기에는 니모닉 보관의 어려움과 콜드월렛 휴대의 불편함 등이 개인지갑 대중화에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트레이딩 목적을 제외하면 실물시장에서 Use case가 제한된 점도 Mass Adoption을 가로막는 배경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그랩, 페이팔 등 글로벌 사용자 기반을 갖춘 기업들이 자사 앱에 크립토 월렛을 탑재해 크립토자산 관리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대폭 높였고, 일본 미쓰비시UFG는 내년 초부터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공식 시작할 예정입니다. 일련의 변화들은 대중화를 가로막았던 장애물들을 해소해 접근성을 높이고 크립토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