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9월 22일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목차
김치 프리미엄
알트코인 거래량 집중 및 이상 급등락 현상
시스템 및 기존 금융 전이 리스크 증가
맺음말
MK 컨퍼런스 시리즈의 두 번째 리포트로 주제발표 I: 대한민국 가상자산 10년사 진단·분석·논의를 요약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차기 한국재무관리학회장이자 DAXA의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인 강형구 한양대 파이낸스 경영학과 교수가 진행한 이 주제 발표는 국내 가상자산 10년사를 BTC 가격추이와 시기별 중요 이벤트를 통해 돌아보고, 한국 가상자산 시장에서만 발생하는 유니크한 현상 세 가지와 그에 대한 분석과 논의, 대안 제시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Figure 3, 4)
이 주제발표를 관통하는 주요 메시지 중 하나는 한국 법인 및 기관의 가상자산 투자 및 매매 진입 허용이다. 당사는 2022년 10월 14일 코빗 리서치 ‘국내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가 필요한 이유’에서 경제적 가치 창출, 고용 창출, 투자자 보호, 자산운용 수익률 개선을 근거로 그 중요성을 피력한 바 있다. 또한 2022년 2월 25일 코빗 리서치 ‘기관투자자를 위한 가상자산 배분 전략’에서 기관투자자들이 가상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함으로써 위험 조정 수익률(risk-adjusted return)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증명한 바 있다.
김치 프리미엄, 알트코인 이상 급등락 현상, 시스템 및 기존 금융 전이 리스크 증가 등 현실적이고 민감한 소재를 다룬 이 주제발표는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현재 모습을 만든 규율체계에 대한 대담한 비판과 위기에 대한 냉철한 경고, 그리고 온건한 대안을 제시했다. 유럽과 일본, 홍콩에서 가상자산의 제도권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이 시점에 업계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감독 당국의 변화를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주제발표라고 당사는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