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목차
I. 한국의 역사적 배경 (feat. 빨리빨리)
II. 한국의 4가지 특징과 크립토 시장
III. 한국 크립토 시장, 어떻게 공략할까?
TL;DR
- 한국은 역사적인 배경 때문에 외국과는 다른 4가지 특성(디지털 친화적, 소액 결제와 소액 투자의 보편화, Risk-loving 문화, 문화적 갈라파고스)을 가지게 되었음. 그 결과 전 세계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인구로 전 세계 크립토 거래량의 33%를 점유
- Web3.0 프로젝트가 한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한국 고유의 방법이 필요함
- 프로젝트에 대한 깊은 이해를 담은 한국어 자료를 발간하고, Google이 아닌 NAVER SEO를 활용하고, 트위터가 아닌 텔레그램 커뮤니티를 공략하고, 플랫폼 사용법을 유튜브 영상으로 안내하고, 한국의 대형 프로젝트와 협력할 필요가 있음
-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기초 자료를 배포하기 위해 초기 1~2개월간 마케팅 예산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이후 몇몇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마케팅 예산을 줄여 유지할 필요가 있음
I. 한국의 역사적 배경 (feat. 빨리빨리)
한국의 크립토 커뮤니티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1950년 한국전쟁으로 대부분의 인프라가 파괴된 상황에서 불과 50년만에 뛰어난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그 과정에서 한국인의 성향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1950년 발발한 한국 전쟁으로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중 하나로 전락했다. 1960년이 되어서도 한국의 인당 GDP는 글로벌 평균의 1/6에 불과했다. 당시 정부는 국가가 주도하는 경제 성장 정책을 채택했다. 대규모 인프라 사업(서울-부산 고속도로를 2년반만에 완공 등)을 추진하고, 1등 업체를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통폐합했다. 이 과정에서 “빨리빨리”라는 뭐든지 빠르게 해치운다는 문화와, “1등”이 되기 위한 경쟁 문화가 형성되었다. 그 결과 한국은 “철강, 조선, 기계” → “자동차, 반도체, IT”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경제 성장에 성공한 2000년대의 한국은 다시 IT 인프라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스마트폰 보급률도 가장 높아졌다. 그 결과 현재는 “게임, 엔터, 드라마”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은 Web3.0 산업을 전개하기 가장 좋은 국가이다. 1) 한국인들은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을 다루는 것에 매우 익숙하고, 트렌드에 민감하여 최적의 MVP 테스터가 될 수 있다. 또한 2) 인터넷 뱅킹, 당일 배송 택배, 부동산 중개, 심지어 세금 납부까지 다양한 Web2.0 플랫폼들이 보편화되어 있어 Web3.0 플랫폼이 정말 가치를 만들어내고 사용처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II. 한국의 4가지 특징과 크립토 시장
세계 인구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인구를 보유한 한국은 종종 전 세계 크립토 거래액의 무려 1/3을 차지한다. 2017년이나 2021년 같이 크립토 시장이 활황이었을 당시에는 한국 거래소의 비트코인 가격이 해외 거래소보다 10~40% 높게 유지되는 일명 김치프리미엄이 장기간 지속된 이상한 사례도 있었다. 우리는 그 이유를 아래 그림의 4가지 특징을 통해 살펴보겠다.
1. 디지털 친화적
한국인들은 디지털 플랫폼에 매우 익숙하다.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디지털 플랫폼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 속도 역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다. 실제로 한국인은 하루 평균 3시간 이상을 디지털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Web3.0 플랫폼들은 디지털에 친화적인 한국 시장에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며 한국인들을 유저로 유입할 수 있을 것이다.
2. 소액 결제와 소액 투자의 보편화
한국인들은 작은 금액으로 디지털 재화를 구매하거나, 자산에 투자하는 것에 익숙하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3%에 달하며 인터넷 뱅킹이 보편화되어 있다(그리고 인터넷 은행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연동되어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게임 산업이 발전하며 디지털 재화(캐시 아이템)를 구매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었고, 최근에는 마이데이터 정책(Digital banking services, sharing of personal financial data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모든 금융 기관의 정보가 공유되며 소액 결제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도 출시되고 있다. 이는 Web3.0 플랫폼에서 디지털 재화를 구매하거나 구독료를 납부하는 것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물론 ‘개미 투자자’로 불리는 한국 리테일의 투자 문화도 흥미롭다. 강력한 커뮤니티로 뭉친 에코프로(2차전지 관련주), 테슬라 주주들은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는 기관 투자자들을 긴장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3. Risk-loving 문화
한국인들의 위험 선호도는 높다. 한국은 빠른 경제 성장을 달성했지만 사회의 경쟁 강도가 높아지며 단순히 노동 소득으로 부자가 되는 것이 어려워졌다. 특히 집을 소유하는 문화를 가진 한국의 부동산 가격이 치솟으며 젊은 층에게 강력한 박탈감을 주었다. 이는 젊은이들이 밈주식이나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에 투자하도록 만들었다. 암호화폐 중에서도 더 큰 리스크와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알트코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4. 갈라파고스(문화적, 언어적)
한국은 특이하다.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언어가 있고, 인사법, 존댓말, 예절 등의 문화가 서양과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크립토 시장에도 존재한다. 한국의 투자자들은 구글이 아닌 네이버라는 검색 엔진을 사용해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커뮤니티는 엑스(트위터)가 아닌 텔레그램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주목해야 할 부분은 한국인들은 주변 사람들에 동조하는 성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특정 패션 스타일(패딩점퍼)이나 과자(꼬북칩), 과일(샤인머스켓), 심지어 영어유치원까지 전국적으로 유행한 경험이 있다. 한국 크립토 텔레그램 커뮤니티에도 유사한 현상이 종종 관측된다. 대형 채널에서 배포된 콘텐츠가 텔레그램 포워딩 문화를 타고 끊임없이 재확산되며 거의 모든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수일간 언급되는 현상이다.
아무튼 한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한국 고유의 방법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II. 한국 크립토 시장, 어떻게 공략할까?
한국은 블록체인 재단이 공략하기에 좋은 시장이다. 하지만 한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해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한국만의 특별한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 시장에서 커뮤니티를 설립하고 유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1)가장 바닥에 프로젝트에 대한 깊은 스터디와 이해를 지원하는 인뎁스 콘텐츠를 쌓아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2)인뎁스 콘텐츠의 세부 주제들을 기반으로 A4 1~2페이지 분량의 콘텐츠를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배포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들이 특정 키워드로 검색을 했을 때 프로젝트를 노출시킬 수 있다(SEO). 그리고 3)텔레그램 커뮤니티를 통해 2~3문단의 숏폼 콘텐츠를 생산하여 더 많은 유저에게 노출한다.
유저 입장에서 살펴보면, 1)텔레그램 커뮤니티의 숏폼 콘텐츠를 보고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가 생기고, 2)NAVER에 프로젝트를 검색했을 때 관련 콘텐츠가 표출되고, 3)더 관심이 생겨서 자료를 찾아보면 프로젝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리서치 보고서를 읽으며 프로젝트에 대해 이해하고, 더 나아가 확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한국 커뮤니티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기초 자료를 배포하기 위해 초기 1~2개월간 마케팅 예산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고(기세와 인기몰이가 필요), 이후에 마케팅 예산을 줄이고 주요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타겟 마케팅을 진행하며 커뮤니티를 유지시키는 것을 추천한다. 마케팅 과정에서는 인뎁스 리포트, 네이버, 유튜브, 텔레그램 등을 누구와 어떻게 활용할지 논리적인 초기 기획도 필수적이다.
-> '한국 블록체인 시장 특징과 공략법'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