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전 세계적으로 SNS를 이용한 가상자산시장의 시세조종 및 가격 급등락 (펌프앤덤프; Pump-and-Dump)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상품거래위원회(CFTC)와 SEC는 이와 관련된 혐의자들을 기소한 바 있음. 우리나라 가상자산시장은 단독상장 종목의 비율이 높고, 한국 중심으로 거래되는 코인들의 비중도 높기에 시세조종의 타깃이 되기 쉬움. 분석 결과 김치코인들의 시간별 관측치의 최대 4.7%에 해당하는 거래가 ‘펌프앤덤프’의 경향성을 보였음. 이 같은 경향이 추세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는 있으나 시세조종의 위험이 여전히 상종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
1. 2020년도부터 2022년까지 가상자산시장이 급성장한 시기에 전 세계적으로 SNS 등을 통해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용한 시세조종 및 불공정거래 양상이 자주 관찰됨.
- 가상자산시장에서 자주 관찰되는 시세조종의 양상은 가격이 급등한 후에 급락하는 패턴을 보 이는 ‘펌프앤덤프(Pump & Dump)’ 방식으로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해 인위적으로 가격을 상승시킨 후, 작전세력은 오른 가격에서 자산을 매도함으로써 가격이 급락하는 패턴임.
- 체인애널리시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상장된 후 10회 이상 거래된 신규 토큰 중 상장 후 첫 번째 주에 90% 이상 가격이 급락한 토큰이 약 24%로 신규 코인들 중심으로 ‘펌프앤덤프’ 패턴이 관찰됨.*
- 미국상품거래위원회(CFTC) 는 이러한 ‘펌프앤덤프’ 방식의 시세조종을 조심할 것을 권고하는 한편 2021년 3월 ‘펌프앤덤프’ 방식으로 Doge coin, Verge coin 등 여러 알트코인을 이용하여 시세조종행위를 한 투자자들을 뉴욕법원에 기소하였음.
-
SEC도 2022년 10월 DIG라고 하는 가상자산을 ‘펌프앤덤프’시킨 혐의를 받고 있는 두 회사를 기소하였음.
*Chainalysis (2023), The 2023 Crypto Crime Report
2. 여러 실증논문들은 ‘펌프앤덤프’가 여러 가상자산거래소에서 자주 관찰되는 현상으로 약 10분간 지속되는 경향성을 보이며, 유동성이 낮고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이 작은 가상자산일수록 ‘펌프앤덤프’의 타깃이 되기 쉽다는 것을 밝힘.
- Dhawan and Putnins(2020)*은 2개의 가상자산 거래소의 7개월간 데이터를 통해 355건의 ‘펌프앤덤프’ 사건을 식별하였고, 비정상적인 거래량 증가와 가격상승 및 급락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시가총액이 작은 코인들이 더 쉽게 타깃이 됨을 밝힘.
- Li, Shin and Wang(2019)**은 SNS와 여러 거래소의 가상자산 시세 자료를 이용해 가상자산 시장의 ‘펌프앤덤프’가 약 10여분간 짧게 지속됨을 이상 거래량과 가격을 통해 식별하는 한편, 외부 투자자에게 큰 손실을 주고, 가상자산의 가격을 떨어뜨리고 거래량을 축소시켜 시장의 건전성에 해가 될 수 있음을 밝힘.
*Dhawan, A., & Putniņš, T. J. (2023). A new wolf in town? Pump-and-dump manipulation in cryptocurrency markets. Review of Fi-nance, 27(3), 935-975.
** Li, T., Shin, D., & Wang, B. (2021). Cryptocurrency pump-and-dump schemes. Available at SSRN 3267041.
3. 우리나라 가상자산시장은 전체 종목 수 대비 단독상장 종목의 비율이 높고, 한국 중심으로 거래되는 김치코인* 비중도 높은 한편, 글로벌 상위 10대 가상자산 외의 자산 거래비중이 41%에 달하고 있어 시세조종의 타깃이 되기 쉬운 특성을 지니고 있음.
- 금융위원회의 2022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복상장을 제외한 전체 상장 코인 수는 625개이고, 이중 389개(62.24%)가 하나의 거래소에만 상장된 단독상장 가상자산임.
- 단독상장된 코인의 경우 한국인이 발행하거나 국내 사업자에서 주로 거래되는 김치코인*이 223종으로 57%를 차지하고 있음.
* 김치코인이란 국내 업체가 발행하거나 국내에서 주로 거래되는 코인을 가리킴 - 코인별 투자비중을 살펴보면 글로벌 상위 10대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59%로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약 41%의 투자가 비 메이저 코인들에 집중됨.
* 전 세계 가상자산 시장의 경우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기준 상위 10대 코인에 대한 투자 비중은 84.9%로 우리나라의 상위 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음. - 우리나라 가상자산 시장은 단독상장 코인의 비중이 높고, 거래되는 알트코인들의 시가총액도 작아 ‘펌프앤덤프’ 현상의 쉬운 타깃이 될 수 있음.
* 김치코인중 하나인 P코인은 2021년 10월 30일-11월 1일 사이에 가격이 폭등하였다가 급락하는 양상을 보였는데(<그림 1>), 이 기간 중 코인 가치에 영향을 줄 새로운 정보나 특별한 이벤트가 없었다는 점에서 ‘‘펌프앤덤프’가 의심되는 사례임.
4. Kamps and Kleinberg (2018)*의 방식으로 2021년 10월의 김치 코인들의 시간별 OHLCV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시세 패턴을 분석해 보면 총 16,560건의 시간별 가격, 거래량 중 최대 약 4.7 %에 해당하는 관찰치가 ‘펌프앤덤프’ 사례로 분류할 수 있음
*Kamps, J. & Kleinberg, B. (2018). To the moon: defining and detecting cryptocurrency pump-and-dumps. Crime Science, 7(1), 1-18.
- Kamps와 Klenberg(2018)은 가상자산시장의 가격과 거래량이 추세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이탈할 경우 ‘펌프앤덤프’로 식별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음.
- 가격과 거래량의 추세는 특정일전까지의 종가와 거래량의 이동평균으로 구하고, 이동평균*보다 일정수준 이상(∊)으로 가격과 거래량이 증가할 시 펌프 전략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
- 펌프전략의 측정기준값이라고 할 수 있는 ∊의 값의 크기를 달리하여 살펴본 결과 약 60~ 80%에 해당하는 펌프 과정이 이후에 가격이 하락하는 덤프의 과정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음.
5. 김치코인의 91.3%에서 ‘펌프앤덤프’로 추정되는 양상이 관찰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펌프앤덤프’ 의 강도는 감소 추세를 보임.
- 가장 엄격한 기준(기준3)을 바탕으로 가격과 거래량의 이상점을 식별하게 되면 펌프 사건의 약 80.39%가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지고 김치코인 23개 중 21개(91.3%)의 코인들이 유사한 가격 행보를 보여 시가총액이 작고 유동성이 작은 김치코인이 쉬운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함.
- 다만,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P코인의 거래 내역 중 ‘펌프앤덤프’로 분류되는 비중이 감소 추세를 보임에 따라 전반적인 ‘펌프앤덤프’의 강도는 잦아드는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