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알고랜드, 알고 보면 괜찮을지도?

user-image
강동현
Research Analyst/
Xangle
2023.07.31

알고랜드, 알고 보면 괜찮을지도?

목차

1. 암호학계의 대부 실비오 미칼리의 블록체인, 알고랜드

2. 알고랜드의 강점: 쾌적한 사용자 경험의 기반이 되는 강력한 기술력

2.1. 듀얼 노드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 탈중앙화를 개선

2.2. 알고랜드의 확장성을 개선하는 순수지분증명 시스템

2.3. 참여 키 사용 및 키 재지정

3. 알고랜드의 과제: 지속성이 떨어지는 기관 및 국가와의 협력과 미미한 생태계

3.1. 지속성이 떨어지는 기관 및 국가와의 협력 사업

3.2. 여전히 낮은 생태계 성숙도

4. 알고랜드의 반격: 공격적인 마케팅과 개발자 온보딩을 돕는 AlgoKit

4.1. 공격적인 마케팅과 타겟 시장의 확장

4.2. 지원 언어 확장 및 개발과정을 간소화한 AlgoKit으로 웹2 개발자 온보딩을 노린다

5. 알고랜드에서 주목할만한 디앱들

5.1. Folks Finance

5.2. Lofty AI

6. 맺으며

 

 

1. 암호학계의 대부 실비오 미칼리의 블록체인, 알고랜드

알고랜드는 카르다노, 이오스와 함께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3세대 블록체인으로 주목받은 메인넷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MIT의 교수인 실비오 미칼리가 설립했다. 실비오 미칼리는 현재 크립토 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VRF(Verifiable Random Function)와 영지식 증명의 연구를 통해 2012년 튜링상을 수상한 바 있는 암호학계의 대부와도 같은 인물이다. 그의 깊은 암호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알고랜드의 기술적 강점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출시 기간 대비하여 보면 알고랜드의 생태계 성장은 지지부진한 상황에 놓여 있다. 또한 최근에는 증권성 이슈로 인해 프로젝트에 타격을 입으며 생태계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고랜드의 기술적 강점과 실비오 미칼리의 명성을 바탕으로 여러 기관 및 국가들과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본 글에서는 알고랜드의 이러한 기술적 강점에 대해 먼저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알고랜드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와 잠재적 기회에 대해서 함께 탐색해 보고자 한다.

2. 알고랜드의 강점: 쾌적한 사용자 경험의 기반이 되는 강력한 기술력

알고랜드의 주요 강점 중 하나는 실비오 미칼리 교수의 깊이 있는 암호학 지식에 기반한 탁월한 기술력이다. 이러한 기술력은 알고랜드가 사용자들에게 쾌적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장에서는 알고랜드의 기술력에 대해 자세히 살펴고자 한다.

2.1. 듀얼 노드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 탈중앙화를 개선

알고랜드 노드 종류, 중계 노드, 참여 노드, 인덱서, 기록 제출용 노드

알고랜드는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을 위해 노드를 중계 여부, 합의 과정 참여 여부, 아카이브 여부에 따라 구분하고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진다. 먼저 중계 노드(Relay Node)는 블록 생성 및 합의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대신 중계 노드는 참여 노드에서 합의 과정을 마친 블록 데이터를 중계, 즉 노드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연동점의 역할을 한다. 블록 생성 및 합의가 완료된 블록을 중계 노드 간에 전파를 하여 속도를 또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아카이브 역할을 수행한다.

참여 노드(Participation Node)는 보유한 지분에 따라 블록 생성 및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를 말한다. 또한 참여 노드는 다수의 중계 노드에 연결되어 이러한 합의 과정을 중계 노드에 전달한다. 또한 참여 노드는 모든 블록 데이터를 아카이브하지는 않는다. 대신 1,000개의 가장 최근 생성된 블록을 저장해 검증이 올바른지 확인이 가능하다. 인덱서와 기록 제출용 노드는 중계와 합의에 참여하지 않으며, 각자의 목적인 온체인 데이터 사용 및 트랜잭션 제출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중계 노드와 참여 노드의 구조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도식화가 가능하다.

알고랜드의 중계 노드와 참여 노드 구조, 중계 노드, 참여 노드, 인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