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image
+1
정석문외 1명
Head of Research/
Korbit
2023.07.17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힌먼 문서, 가상자산 탈중앙화 측정, 크립토 증권성, 암호화폐 탈중앙화, 탈중앙화 트렌드

본 리포트는 한국 시간 7월 14일 새벽 발표된 미국 뉴욕 남부 지방법원의 리플 소송 약식 판결 이전인 7월 1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2023년 상반기 탈중앙화 트렌드
  -비트코인: 자산 보유에서 탈중앙화 개선 
  -이더리움: 마이닝, 개발자에서 탈중앙화 개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분석 결과 요약

탈중앙화와 증권성의 관계
  -힌먼의 이더리움 연설
  -자금조달 행위가 아닌 가치 교환 매개에 대한 판결이 관건
  -가상자산의 탈중앙화 측정이 여전히 중요한 이유



 

들어가며

탈중앙화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존재 이유이자 목표다. 하지만 현재진행형이며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정량화가 필요하다. 본 리포트는 주요 블록체인의 탈중앙화를 정량화하는 세 번째 리포트로서 2023년 상반기(2022년 11월 초~2023년 6월 중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나카모토 계수와 지니 계수의 흐름을 분석한다. 나카모토 계수와 지니 계수는 탈중앙화를 수치화한 지표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Elephant in the room: 블록체인 탈중앙화 측정하기(2022. 6. 24)’ 리포트를 참조 바란다. 특히 이번 분석 기간은 올해 상반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경험한 큰 변화인 오디널스 출시와 샤펠라 업그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두 네트워크의 탈중앙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네트워크의 성장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올해 상반기 쏟아져나온 SEC의 연쇄 기소를 통해 가상자산의 증권 여부가 화두가 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본 리포트 후반부에 탈중앙화와 가상자산 증권성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논한다. 특히 최근 공개된 힌먼 문서로 인해 다시 회자되고 있는 2018년 힌먼 연설을 살펴보고 이 연설을 통해 처음으로 제기된 탈중앙화와 증권성의 연관성을 짚어본다.

힌먼 문서, 힌먼 연설, 크립토 증권성, 탈중앙화와 가상자산 증권성의 연관성

 

2023년 상반기 탈중앙화 트렌드

본 섹션에서는 최신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5개 서브 시스템(마이닝(mining), 클라이언트(client), 개발자(developer), 노드(node), 자산 보유(ownership))에 대하여 나카모토 계수와 지니 계수를 측정하여  지난 6개월간 두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트렌드를 분석한다. 두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수치는 주별로 업데이트하였고 분석 기간은 2022년 11월 첫째 주부터 2023년 6월 셋째 주까지이다. 

결과 설명에 앞서 수치 산출 방법론에 대해 몇 가지 언급이 필요하다. 첫째, 이전 탈중앙화 리포트에서 언급했듯이 지니 계수가 하락(상승), 혹은 나카모토 계수가 상승(하락)하면 네트워크의 탈중앙화가 개선(역행)됨을 의미한다. 둘째,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와 출처가 수정되었다. 먼저 비트코인 마이닝 데이터는 2023년 1월 첫째 주부터 데이터베이스 상의 최장 시계열이 기존 4일에서 3년까지 늘어나 최근 3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주기를 최대한 길게 잡은 이유는 데이터 내 노이즈를 제거하는 smoothing 효과 때문이다. 이더리움의 마이닝 데이터베이스도 기존 데이터베이스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아 2023년 2월 첫째 주부터는 다른 출처를 사용하였고, 노드 운영 주체*의 점유율을 계산하여 나카모토 및 지니 계수를 산출하였다. 업데이트된 산출 방법은 Figure 2와 같으며, 서브 시스템 혹은 더 구체적인 수치 산출 방법에 대한 설명은 이전 리포트(‘Elephant in the room: 블록체인 탈중앙화 측정하기(2022. 6. 24)’)를 참조 바란다.

* 나카모토 계수는 상위 스테이커의 점유율, 지니 계수는 활성화된 검증인 노드의 점유율을 사용.

가상자산 탈중앙화 측정, 암호화폐 탈중앙화, 탈중앙화 트렌드, 가상자산 탈중앙화 분석 방법 및 요약

*2022년 11월 첫째주부터 2023년 1월 마지막주까지 참고한 기존 노드 운영 주체에 대한 점유율 데이터는 더이상 제공되지 않음.

 

비트코인: 자산 보유에서 탈중앙화 개선

비트코인 네트워크 및 이에 대한 5개 서브 시스템에 대한 탈중앙화 트렌드 결과는 Figure 3-8과 같다. 분석 결과는 크게 다음 3가지로 요약된다.

가상자산 탈중앙화 측정, 암호화폐 탈중앙화, 탈중앙화 트렌드, 비트코인 탈중앙화 분석 방법, 전체 지니/나카모토 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