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image
블록헤더스
블록헤더스
2023.07.04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2월 11일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블록체인 탈중앙화, 블록체인 트릴레마, 레이어2 솔루션,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방안, 블록체인 트릴레마 3요소, 레이어2 솔루션

작성자: 이동규 (블록체인 밸리 2기), 김희지 (블록체인앳연세 9기) 이승아 (하이블록 1), 고준호 (디사이퍼 8), 박근영 (블록체인 밸리 1), 윤태웅 (블록체인앳연세 8기)

 

목차

블록체인 트릴레마란?
블록체인 트릴레마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이유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해결 방안
마치며 


블록체인 트릴레마란?

블록체인은 현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우리가 일하고 생활하는 방식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다만 이 기술이 더 널리 채택되기 위해 해결해야 할 핵심적인 문제가 있는데, 이는 바로 "블록체인 트릴레마"입니다.

트릴레마, 즉 삼중 모순은 세 가지 목표 중 최대 두 가지 목표는 달성할 수 있으나 세 가지 목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를 뜻합니다.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종종 “탈중앙성, 보안성, 확장성 세 가지 요소가 갖춰져야 대중적인 기술 확장이 가능하다고 제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블록체인 트릴레마에 의하면 위 세 가지 속성을 모두 동시에 최적의 수준으로 달성하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한 가지를 강화하면 다른 요소가 약화됩니다. 이를테면 탈중앙성과 보안성에 초점을 맞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경우,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매우 느려 확장성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출처: Ledger.com / 블록체인 트릴레마 시각 자료 

 

탈중앙성이란?

비트코인을 비롯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탈중앙화를 염두해 설계됩니다. 이는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책임을 지는 특정 주체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통제권은 단일 주체가 아닌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완전히 분산됩니다. 따라서 모든 이들이 동등한 조건에서 공통적인 데이터에 접근하게 됩니다. 만약 누군가가 본인의 이익을 위해 시스템을 악용하려고 한다면, 나머지 참여자들이 그 악의적인 데이터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더 쉬운 이해를 위해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통제권을 가진 중개자가 없습니다. 반면 기존 금융 시스템에는 중개자가 존재합니다. 거래나 송금할 때 우리는 은행이라는 중개자가 정확하게 거래를 처리하고 기록할 것이라 믿고 거래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모든 데이터는 네트워크 참여자 전원에게 공유됩니다. 따라서 거래를 처리하기 전에 해당 거래가 올바른지 참여자들에게 검증되어야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런 탈중앙적 구조 덕분에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중개자 없이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나아가 탈중앙성은 인터넷으로 전파되어 Web3라는 개념으로 발전됐습니다. Web3 생태계에서 사용자들은 중개자 없이 본인이 생성한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갖게 됩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과 같은 기존 Web2 생태계에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나, 해당 콘텐츠로부터 창출되는 수익과 소유권은 특정 기업이 통제합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콘텐츠의 수익을 플랫폼이 1차적으로 취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반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Web3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데이터를 온전히 소유할 수 있게 되며 본인이 제작한 콘텐츠로부터 얻는 수익과 소유권은 어떠한 기업도 임의로 통제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