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대한민국 NFT/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 참관기

user-image
+1
김재원 (포뇨)et al 1
Research Team Lead/
Xangle
2023.06.28

 

들어가며

1. 넥슨: 메이플스토리의 지난 20년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20년을 준비하다

2. 마브렉스: 멀티체인과 퍼블리싱 사업으로 생태계 확장에 나서다 

3. 엔픽셀(NPIXEL): Web3로 엔픽셀과 유저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다

4. 맺으며: Web2 게임사가 블록체인 게임의 대중화를 앞당길 것이라는 뷰는 여전히 유효

 

 

 

 

 

들어가며

6월 27일 한국게임미디어협회 주최 대한민국 NFT/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넥슨, 마브렉스, 엔픽셀 등 블록체인 게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참석했다. 본 글을 통해 이들이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시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고민하는 지점들,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을 공유하고자 한다.

 

1. 넥슨: 메이플스토리의 지난 20년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20년을 준비하다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총괄을 맡고 있는 황선영 넥슨 그룹장은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프로젝트의 근간이 되는 메이플스토리 IP가 쌓아온 업적을 소개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메이플스토리는 1억 8천만명의 누적 유저와 5천만 명의 충성도 높은 유저*를 보유한 넥슨의 대형 IP로 지금은 단순 게임을 넘어서 문화 콘텐츠의 영역으로도 확장하는데 성공했다.

황선영 그룹장은 메이플스토리의 핵심 재미는 보상 경험(RX; Reward Experience), 즉 득템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지난 20년 메이플스토리의 성공 방정식은 이러한 보상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1) 콘텐츠 업데이트를 통해 아이템의 유틸리티를 확보하고 2) 라이브 오퍼레이션(서버 점검, 모니터링, 사후 대응)을 통해 아이템 수량을 조절하여 희귀도(Rarity)를 조절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는 이러한 성공 방정식을 블록체인으로 한 단계 진화시켜 다음 20년을 준비하려는 시도다. 블록체인은 현재 게임 서버에 제한된 아이템을 NFT로 발행하여 파생 생태계(크리에이터 중심의 2차 창작)로 뻗어나가 아이템의 유틸리티를 확장시키고 보상 경험을 극대화한다. 즉, 넥슨 개발팀이 전적으로 도맡아 온 콘텐츠 업데이트를 크리에이터가 일부 담당하고, 크리에이터가 만든 콘텐츠가 게임 못지않은 콘텐츠 역량을 가지게 된다면 아이템의 유틸리티 확장에 극단적인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