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4월 29일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목차
1. Gas Sponsorship
2. Social recovery
3. Multi-call
4. Automating controlled payments
5. Custom access control
1편(UX관점에서 살펴보는 ERC-4337 Use case for Web3 Game)에 이어서 이제 ERC-4337 기반의 Account Abstraction이 무엇이며, 어떠한 효용을 가지는지, 그리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Blockchain UX Framework를 알고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더욱 구체적으로 ERC-4337기반의 Account Abstraction이 어떻게 UX를 개선하는지, 어떠한 효용을 제공하는지 Web3 Game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ERC-4337 기반의 Account Abstraction 기술이 가장 잘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Game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게임은 블록체인과 잦은 소통을 해야 하며, 이는 필연적으로 많은 거래 승인을 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반복적으로 서명을 진행하고, Gas Fee를 내며 UX 저하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Game의 본질인 재미와 거리가 멀어지며, 이용자들이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ERC-4337 기반의 Account Abstraction 덕분에 조금 더 나은 UX 구현이 가능합니다. 게임의 본질인 재미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ERC-4337을 사용하여 지갑, 시드 구문 저장, 트랜잭션 서명, 개인 키 관리 등 UX를 저하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Web2 유저들이 경험하는 UX와 비슷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유저 온보딩을 돕고, 유저들이 게임성, 재미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ERC-4337 기반의 Account Abstraction이 블록체인 게임에서 사용될 수 있는 5가지의 Use case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그리고 각 사례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떻게 UX 개선을 경험할 수 있는지 UX Framework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평가 기준으로는 Web3 게임을 처음 접하는 유저가 아닌, 이미 과거에 Web3 게임을 경험해 본 유저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Web3 Game use case에 대한 Blockchain UX Framework의 내용 선정은 Author인 백용기, 하서빈의 주관적인 견해이므로 각자의 기준에 따라 선정 결과값은 달라질 수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Use cases of ERC-4337 for Web3 Game + UX Framework check
1. Gas Sponsorship
ERC-4337은 Entry point contract에서 Paymaster 기능을 지원합니다. 즉, Paymaster는 EVM 계열 네트워크의 컨트랙트 설계자(게임 개발사)가 유저의 수수료를 대신 지불하거나, 유저가 ERC-20 토큰으로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글의 초입 부분에서 언급했듯 User Operation 내 paymasterAndData필드에 지불 계정 주소를 입력해서 보내면 Gas fee 대납이 가능한 형식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해 게임사가 유저에게 Gas fee를 일부 지원 또는 대납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P2E 게임 세탄 아레나(Thetan arena)는 현재 홈페이지에서 유저들에게 무료 Welcome gift를 Airdrop 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저의 지갑 내 가스비로 쓸 소정의 자금이라도 없으면 클레임이 불가합니다. 게임사가 트랜잭션의 Gas fee를 지원 또는 대납한다면, 유저 입장에서 개선된 서비스의 하나로 만족감을 느끼며 게임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사 입장에서는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유저 온보딩이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예시들로 보았을 때, Gas Sponsorship 사용 전과 후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 전:
a. 유저는 지갑에 Gas fee로 사용할 이더리움이 있는지 항상 체크해야 함.
b. Gas fee 또한 본인의 자산이므로, 유저는 부담감을 느낄 수 있음.
c. Gas fee가 없으면 게임 플레이가 어려우며, 또한 게임 관련 아이템 Airdrop을 받지 못함.
사용 후:
a. 유저는 이더리움이 아닌 ERC-20 토큰으로 결제할 수 있음
b. Gas fee를 게임사에서 지원함으로써, 유저는 이전보다 게임에 부담을 덜 느끼며 몰입할 수 있음.
c. Gas fee가 없어도 게임 관련 아이템 Airdrop을 받을 수 있음.
아래의 UX Framework를 통해 분석한 결과, General UX 측면에서 Usability(4개), Affect(3개) 부분 개선이 이뤄졌다고 체크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많이 체크 된 Usability의 경우, 게임사가 Gas fee를 지원함으로써 유저 입장에서 Gas fee 없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짐으로 온보딩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Paymaster 기능을 통해 ERC-20 토큰으로 Gas fee를 지불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함으로써 Usability가 개선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