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한국, 중국, 대만) 암호화폐 생태계 분석

user-image
+2
Alphanonce외 2명
Alphanonce Investment
2023.05.26

[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4월 10일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아시아 웹3 시장, 아시아 암호화폐 규제, 아시아 가상자산 거래소, 일본 웹3, 국내 가상자산 시장

※ 본 글은 'CMA Report – A Primer Of Asia’s Crypto Landscape' 리서치를 한글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목차

규제 현황
지역별 시장 구조
국가별 주요 프로젝트
개발자
투자사
미래 전망

 

 

 

 

 

본 글은 한국, 중국, 대만의 암호화폐 생태계에 대한 분석이다. 각국의 암호화폐 규제, 시장 구조, 국가별 주요 프로젝트, 투자사, 미래 전망에 대해 다룬다.

 

규제 현황

한국

2021년 9월 특금법이 시행되며 실명 은행계좌가 있어야만 암호화폐-원화쌍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없어서 법정화폐 KRW 기반 거래량이 한국 암호화폐 거래량 전체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은행의 신규 거래소에 대한 실명계좌 발급이 쉽지 않다보니, 결국 이는 실명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5개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거래량이 집중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실명계좌 이외에 한국에서 주목해서 봐야할 요소로 STO가 있다. 현재 한국의 STO는 3가지 포인트로 요약될 수 있다.

  • STO 거래 과정에서 특정 암호화폐를 필요로 해서는 안된다.

  • STO 거래는 반드시 정부에 의해 규제되는 거래소에서 이뤄져야 한다.

  • STO는 외부 자본 유치가 필요하지만 IPO 요건을 충족시키기 힘든 주체를 위한 제도다.

 

중국

중국은 역사적으로 암호화폐를 강력하게 규제하던 국가였다. 

  • 2013년 12월: 중국 증권규제위원회는 비트코인의 돈세탁 사용성과 화폐로서의 가치가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며 금융기관의 비트코인 거래를 제한하기 시작했다. 이 발표 직후 1주일간 비트코인 가격은 1,000달러에서 600달러로 하락했다.

  • 2017년 9월: ICO 호황 국면에서 중국 중앙은행은 ICO를 통한 자금 모집을 불법화했다. ICO 불법화 발표에 이어 BTC China와 같은 중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는 자발적으로 운영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 2021년 5월: 중국 국무원은 암호화폐 채굴/거래를 금지시키면서 중국인의 역내/역외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역시 불법으로 규정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중국의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점유율은 70%에서 0%까지 바로 감소했으나, 2021년 12월 21%까지 다시 회복하며 해시레이트 기준 미국에 이어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 2021년 9월: 중국 중앙은행은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불법화했다. 

 

이런 식으로 암호화폐에 대해 강경일변도로 나가던 중국의 태도가 2023년 들어 변하고 있다. 특히 홍콩은 새로운 규제 정책을 도입하며 산업을 육성하려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주목할만한 정책은 두가지가 있다.

  • 거래소 규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는 거래소 면허 발급 관련 규정을 명문화한 컨설팅 자료를 출간했다.

  • 스테이블코인 규제: 홍콩 정부는 스테이블코인 발생사가 홍콩에 등록되어 있으며 법정화폐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경우 이를 합법으로 규정하는 법안을 논의중이다. 

 

대만

다른 국가에 비해 대만은 상대적으로 더 명료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만든 나라다. 특히 FTX 파산 이후 명확한 규제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기 시작했는데, 관련해서 BlockTempo 리서치에 따르면 FTX 파산으로 영향받은 대만인은 23만명에 달하며 피해 금액은 200억 달러로 추산된다. 

  • 2019년 6월: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SC)는 STO가 증권법의 적용을 받는다고 선언했다

  • 2020년 1월: 타이페이 거래소는 가상화폐 관리 규정을 발표했다.

  • 2021년 4월: 돈세탁방지법이 암호화폐 거래소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 2021년 6월: FSC는 암호화폐가 통화가 아닌 매우 투기적인 상품이라고 발표했다.

  • 2021년 11월: 역외 투자가 허용되었으며, STO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었다.

  • 2022년 1월: FSC는 대만의 모든 비트코인 ATM에 잠재적 돈세탁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

  • 2022년 11월: FSC는 역외 거래소가 제대로 규제되고 있지 않다고 경고했다.

  • 2023년 1월: FSC는 투자자 보호와 거래소 자산 분리를 정책 우선순위로 선언했다.



지역별 시장 구조

2021년 7월- 2022년 6월 지역별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의 거래량 비교

 

지역

인구

인터넷 사용자

인터넷 침투율

주식 계좌

암호화폐 사용자

암호화폐 침투율

한국

51,829,023

46,524,678

90%

14,000,000

6,900,000

13%

중국

1,412,000,000

1,067,000,000

70%

178,560,000

30,000,000

2%

대만

23,632,003

21,854,720

92%

12,110,000

2,600,000

11%

미국

332,915,073

317,273,637

95%

150,000,000

40,000,000

12%



단위: 조원

1월

2월

3월

4월

비율

전체

797

878

378

2,054

100%

바이낸스

474

545

224

1,244

61%

OKX

38

44

23

106

5%

후오비

12

13

7

32

2%

코인베이스

555

40

18

113

6%

크라켄

17

19

12

48

2%

업비트

73

78

19

171

8%

빗썸

10

9

4

23

1%

코인원

52

2

10

14

1%

한국 거래소

86

89

33

208

10%

출처: 더블록

 

한국

 

2023 업비트 거래대금



한국 암호화폐 시장은 업비트, 빗썸, 코인원의 3개 거래소가 각각 전체 거래량의 82%, 11%, 7%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거래가 상기 3개 거래소에서 발생한다. 또한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트코인 비중이 높은 편으로, 2023년 기준 BTC와 ETH가 전체 암호화폐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5%와 1.6%에 불과하며 나머지 알트코인이 92.9%의 거래량을 점유하고 있다. 

미국과 달리 한국 암호화폐 시장은 개인투자자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특징이 있다. 2022년 4분기 코인베이스 주주서한에 따르면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의 거래량이 각각 6630억 달러와 1670억 달러로, 기관투자자 거래량이 코인베이스 거래량의 80%를 차지했다. 반면 한국은 현재 기관이 거래소에 계정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거래가 개인투자자 기반으로 발생한다. 이 외에도 한국 시장이 갖고 있는 특징으로는 미국과 홍콩에서는 승인된 비트코인 선물 ETF가 없다는 것이 있다.

 

중국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

 

침투율이 10%가 넘는 한국이나 대만에 비해 중국의 암호화폐 시장 침투율은 2.6%로 현저하게 낮다. 대신 사용자 중 암호화폐에 깊은 관심을 갖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포어사이트가 1,0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6%의 응답자가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디파이, NFT, DAO 등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이 있는 비율은 79%로 높은 편이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 경험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 분포 역시 상당히 흥미로웠다. 이더리움 메인넷에 비해서 트론, BNB 체인의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중국 암호화폐 시장의 대중 사용성이 증가하면서 더 다양한 체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발생한 현상으로 풀이된다.

 

대만

대만의 암호화폐 사용자들은 상대적으로 NFT 관련 경험이 높았다. 암호화폐 거래소와 플랫폼 사용자가 207만명 이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침투율을 계산하면 10%에 살짝 못미친다. 여기에 디지털 아트 사용자층까지 감안하면 전체 암호화폐 침투율은 11-12%에 달한다. 

대만 인구의 70%가 대도시에 거주하는 것을 고려하면 암호화폐 침투율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미 높은 인터넷 침투율과 높은 고등교육 비율까지 생각하면 암호화폐 혁신을 주도할 국가가 될 수 있다.

 

국가별 주요 프로젝트

한국

Klaytn (카카오): 대한민국 최대의 메신저 앱인 카카오는 2019년 레이어1 플랫폼 Klaytn을 출시했다. 클레이튼 재단은 최근 투명한 거버넌스 확립을 위해 온체인 거버넌스 플랫폼을 출시하는 등 KLAY 사용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LINE (네이버): 네이버의 자회사인 LINE도 디지털 밸류체인을 확보하기 위해 레이어1 체인을 출시했다. 최근 제로 리저브 정책과 메인넷 Fishcha 출시를 발표하며 클레이튼과 마찬가지로 네이티브 코인 LN 사용처 확대를 위해 노력중이다. 

그 외: 대형 테크 기업이 출시한 두개의 레이어1 프로젝트 외에도 상당수의 게임사와 소비재 기업이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WEMIX (위메이드), MBX (넷마블), XPLA (컴투스), 넥슨은 기존에 갖고 있던 웹2 게임 기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로드맵을 발표하고 실행해나가고 있다. NFT 쪽에서는 푸빌라소사이어티 (신세계), 벨리곰 (롯데) 두 프로젝트가 오프라인 매장 베네핏을 제공하며 온체인-오프체인 연결고리를 만들어나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

중국 가상자산 시장

Conflux Network: 상하이 시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설립된 트리-그래프 연구소에서 2018년 시작한 레이어1 프로젝트다. 현재 중국 정부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에 부합하는 유일한 레이어1 프로젝트라는 면에서 중요하다고 볼수 있다. 최근 사용자 3.9억명에 달하는 중국 통신기업 차이나텔레콤과 모바일 협력을 발표하는 등 모바일 확장에도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Alchemy Pay: 2018년 온램프/오프램프 사업을 시작한 알케미 페이의 거버넌스 토큰 ACH는 페이먼트 수수료 지불과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리워드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기업들이 알케미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면 일정량의 ACH를 스테이킹해야 한다. 

Animoca Brands: 2014년 설립되어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애니모카는 메타버스 분야를 선도한 기업이기도 하다. 390개가 넘는 프로젝트에 투자했으며, 이중 잘 알려진 것으로 엑시 인피니티, 오픈씨, 대퍼 랩스, 샌드박스 등이 있다.

CertiK: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보안 감사 기업으로, 지금까지 3600개 이상의 프로젝트 보안감사를 진행했으며 이들 프로젝트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치면 3640억 달러에 달한다. 이 외에도 실시간 온체인 모니터링 툴과 보안 컨설팅을 제공한다.

 

개발자

한국

한국 개발자 커뮤니티는 중국과 대만에 비해 더 조직화된 경향이 있어서, 각 블록체인 별 개발자 커뮤니티보다는 팀 단위의 개발자 조직이 주류에 가깝다. 

  • 람다256: 한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두나무 산하 개발 기업으로, 현재 자체 블록체인 인프라와 웹3 개발 플랫폼인 ‘루니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NFT와 STO 등 분야로 진출하려는 기업에 솔루션을 제공한다. 

  • Blocko: 2018년 아르고 메인넷을 출시한 개발 기업으로, 블록체인의 데이터베이스 분야 사용성을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Ozys: 오지스는 디파이와 크로스체인 분야에서 표준화된 기술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춘 기업이다.

 

중국

암호화폐 산업군에 대한 중국 인식

 

중국의 개발자 숫자는 2021년 연말 기준 7300만명으로 세계 최대 수준에 30세 이하 개발자가 78%로 암호화폐 산업 발달에 최적화 되어 있지만, 중국 기업 특유의 강력한 클로즈드 소스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블록체인 개발 분야의 발달이 더딘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중국 암호화폐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 암호화폐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개발자중 82.9%가 앞으로도 암호화폐 산업에서 장기적으로 일할 것이라 응답하는 등 강력한 열의를 보여주고 있다.

 

대만

대만 최대 규모 개발자 커뮤니티로 6,000명 이상의 인원을 갖고 있는 타이페이 이더리움 밋업(TEM)이 있다. TEM은 매주 스터디 그룹을 개최하고 수백개의 밋업과 컨퍼런스를 주최한다. 이더리움 이외에도 TON, 솔라나, 썬더코어, IOTA 등에서 활동하는 개발자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투자사

한국

알파논스: 2018년 차익거래를 주요 비즈니스로 해서 설립된 기업이다. 이후 액셀러레이팅, 투자, 유동성 공급 등 암호화폐 산업 밸류체인 전반을 아울러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확장해나가고 있다.

해시드: 초기 프로젝트에 주로 투자하며, 글로벌 경제와 인터넷에서 블록체인이 큰 역할을 차지하는 미래를 투영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100&100 벤처스: 2017년 설립된 이후 초기 프로젝트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주요 투자 포트폴리오로는 플레이댑, 토카막 네트워크, 아이오에스티, 아이콘, 위믹스 등이 있다.

 

중국

해시키: 2015년 설립된 기업으로 2017년 ICO 호황 국면에서 폴카닷, 코스모스 등 L1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서 많은 이익을 낸바 있다. 

드래곤플라이: 2018년 Bo Feng과 Haseeb Qureshi가 설립한 기업으로, 주요 투자 포트폴리오로는 MakerDAO, dYdX, Consensys 등이 있다.

포어사이트: 2021년 설립된 기업으로, 주요 투자 포트폴리오로는 Wallet Connect과 Matrixtport 등이 있다.

 

미래 전망

아시아 가상자산 시장 미래 전망, 가장 기대하는 분야



아시아 암호화폐 사용자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다양한 섹터 가운데서도 가장 많이 발전을 기대하는 분야로 인프라와 디파이가 21.4%의 비율을 차지했다. 뒤이어 NFT, 게임, 메타버스, DAO의 순서로 기대된다고 답했다. 

아시아 암호화폐 산업 발달 저해 요소

 

기대되는 분야 이외에도 암호화폐 산업을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설문도 있었다. 가장 큰 장벽으로 꼽히는 것은 규제로, 최근 미국의 암호화폐 사업 환경 역시 규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해 악화되었다. 그러나 한국과 대만은 상대적으로 미국에 비해 규제 프레임워크가 잘 잡혀있고 홍콩 역시 구조를 만들어나가고 있음을 고려하면 오히려 이러한 상황이 아시아 시장에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알파논스, 코인니스, BlockTempo, Foresight 공동 작성

 

-> '아시아 (한국, 중국, 대만) 암호화폐 생태계 분석' 원문 보러가기

 

 

주의사항
본 글에 기재된 내용들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크로스앵글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글은 투자 자문이나 투자권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 투자 및 투자전략, 또는 기타 상품이나 서비스 사용에 대한 결정 및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며 투자 목적, 개인적 상황, 재정적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금융관련 전문가를 통해 확인하십시오. 과거 수익률이나 전망이 반드시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제휴 파트너에 의해 제공된 것으로, (주)크로스앵글은 본 글에 대한 편집 통제권을 가지지 않고 본 글에 포함된 정보의 정확성 및 적시성에 대해 보증하지 않습니다. 본 글에는 제3자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나 (주)크로스앵글은 제3자 웹사이트에 대해 통제하거나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본 제작 자료 및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자사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저작권에 위배되는 편집이나 무단 복제 및 무단 전재, 재배포 시 사전 경고 없이 형사고발 조치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