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서론
2. 주요 등장 배경: 현재 이더리움 구조는 보안과 비용 측면에서 한계 존재
3. 설명: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아이겐레이어(Eigenlayer)의 등장
4. 플래그쉽 서비스로 EigenDA를 선보일 예정
5. 결론
1. 들어가며
이더리움의 샤펠라(Shapella, Shanghai/Capella) 업그레이드를 앞두고 라이도($stETH), 코인베이스($cbETH), 로켓풀($rETH) 등 유동화 스테이킹(LSD, Liquid Staking Derivatives) 프로토콜들이 재조명되고 있는 가운데 LSD의 진화 버전이라 불리는 아이겐레이어(Eigenlayer) 백서 및 테스트넷이 출시되었다. 최근에는 Blockchain Capital, Coinbase Ventures, Polychain Capital 등 유명 VC들로부터 $50M을 유치했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비우호적인 매크로 환경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펀딩을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모두의 주목을 받고 있는 아이겐레이어, 메인넷이 출시되기에 앞서 본 글을 통해 아이겐레이어의 등장 배경부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끼칠 잠재적 영향을 파악해보자.
2. 문제 정의 및 주요 등장 배경: 현재 이더리움 구조는 보안과 비용 측면에서 한계 존재
이더리움 합의 알고리즘이 PoS로 전환함에 따라 네트워크 보안은 해시파워가 아닌 스테이킹된 ETH의 규모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는 네트워크 탈중앙화 및 보안을 개선하고 채굴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였다는 점에서 특히 유의미한 업그레이드로 여겨진다. 그러나, 스테이킹된 ETH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락업되며 이를 유동화하거나 담보 자산으로 사용하는 등 기타 방법으로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끔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스테이킹된 ETH를 유동화해주는 LSD 프로젝트들이며 이더리움의 PoS 전환 이후 꾸준히 주목 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3월 20일 기준 LSD TVL은 $13.9B을 넘어섰다. 이를 ETH 개수로 환산하면 약 7.8M개로, 비콘체인에 예치된 ETH (17.6M ETH) 중 약 43%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LSD토큰은 주로 디파이 생태계에서만 사용되고 사이드체인, DA레이어, 새로운 VM, Keeper 네트워크, 오라클, 스토리지, 브릿지, TEE 등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s)로 정의되는, 혹은 자체 신뢰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이더리움 기반 미들웨어 및 인프라의 검증에는 참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LSD가 등장하였어도 여전히 AVS는 자체 신뢰 네트워크(trust network)를 구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AVS는 자체 신뢰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1) 토큰을 발행하거나 2) 허가형 구조를 통해 신뢰를 확보한다. 여기서 토큰을 발행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야기한다.
2-1. 높은 자본 비용(capital cost) 발생
이더리움 PoS 스테이킹 대비 리스크가 높은 AVS가 자체 신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선 그에 상응하는 높은 스테이킹 일드를 제공해야 한다. 즉, AVS는 최소한 이더리움 PoS 스테이킹 APR (평균 4~5%)보다는 더 높은 수익률을 제시해야 원활하게 자금을 모집할 수 있으며 리스크가 높은 신설 프로토콜일수록 더 높은 수익률을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AVS의 비용 부담을 높이는 동시에 ‘유동 스테이킹 톺아보기’ 리포트에서 서술하였듯 궁극적으로 AVS와 L1간 암호경제학적 보안(cryptoeconomic security) 측면에서 경쟁 관계를 형성한다. 다른 말로, 높은 APR을 제공하는 AVS가 등장할 경우 스테이커들은 자연스레 L1 대신 해당 서비스에 스테이킹하게 되고 이로 인해 L1 스테이킹 비율이 낮아지게 되면 높은 TVL 대비 낮은 수준의 공격 비용을 제공하여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보안을 취약하게 만든다.
2-2. 파편화된 보안(fragmented security)
이더리움 네트워크 자체의 보안과 AVS 및 기반 디앱의 보안은 사실상 별개다. 즉, 아무리 이더리움의 보안 규모가 $31B(3월 20일 기준)이어도, AVS의 보안 규모가 $1B이라면 해당 AVS를 사용하고 있는 디앱들의 보안 규모도 $1B이다. 이는 디앱들이 AVS의 보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며 여태 브릿지 해킹이나 오라클 이슈로 무덤으로 돌아간 수많은 프로젝트들이 해당 사실을 증명한다.
따라서 이더리움에 신규 AVS를 출시하고 싶은 프로젝트들은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와 능력을 갖추고 있어도 초기 부트스트래핑에 실패한다면 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보안이 파편화되어 있는 이더리움의 이러한 구조는 혁신과 성장 속도를 저해하기도 한다.
3. 아이겐레이어: 리스테이킹(Restaking)으로 탈중앙화 신뢰를 거래할 수 있는 환경 제공
3-1. 아이겐레이어란?
아이겐레이어는 L1과 AVS간 암호경제학적 보안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 컨트랙트다. 쉽게 설명하자면 이더리움에 스테이킹된 ETH로 AVS 서비스들의 보안을 서포트 하는 것이다. 골자는 ETH 스테이커들이 AVS의 신뢰 네트워크에 옵트인(opt in)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아발란체 밸리데이터들이 서브넷의 밸리데이터로도 참여할 수 있는 컨센서스 구조 혹은 코스모스의 ICS(Interchain Security) 개념을 떠올리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ICS는 앱체인이 코스모스 밸리데이터들에게 블록 보상을 제공하는 대가로 이들을 밸리데이팅에 참여시킬 수 있는 기능을 뜻한다. ICS는 신생 앱체인일수록 매력적인데, 이는 초기부터 코스모스의 보안을 끌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겐레이어는 1)리스테이킹 매커니즘과 2) 자유시장 거버넌스(free market governance)의 도입을 통해 보안을 공유하는 네트워크로 탈바꿈시키고자 한다.
리스테이킹(restaking): 말 그대로 이더리움 PoS 체인에 스테이킹된 ETH를 다시 한 번 스테이킹한다는 개념이다. 이더리움 밸리데이터들은 노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및 실행하고 아이겐레이어 컨트랙트를 이용할 경우 이더리움 PoS체인과 AVS를 동시에 밸리데이팅할 수 있다. 그 밖에 ETH 스테이커들도 리스테이킹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은 3-4 섹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자유시장 거버넌스(free-market governance): 아이겐레이어는 밸리데이터로 하여금 자신의 리스크/리워드 성향에 따라 AVS 검증 과정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는 얼리 스테이지 스타트업이나 VC들이 초기에 투자사들을 부트스트래핑해주는 것과 유사하다. 밸리데이터들은 자신이 지원하고 싶은 AVS에게 스테이킹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편, AVS 입장에서는 초기부터 안정적인 신뢰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3-2. 아이겐레이어는 이더리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아이겐레이어는 AVS가 이더리움 밸리데이터들로부터 신뢰와 보안을 대여할 수 있는 시장(open marketplace for decentralized security)을 형성함으로써 앞서 언급했던 이더리움의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다음과 같이 해결한다:
자본 비용: 이더리움 L1과 AVS는 한정된 자본을 서로 뺏고 뺏기는 경쟁 관계에서 자원을 공유하는 협력 관계로 발전한다. ETH 스테이커들은 더 이상 비콘체인과 AVS 중 무엇에 스테이킹해야 할 지 고민할 필요 없이 둘 다 하고 수익을 이중으로 챙길 수 있다. 반대로 AVS는 초기 부트스트래핑 단계에서 공격적인 스테이킹 일드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비용 부담이 낮아진다.
파편화된 보안: 이더리움 L1과 AVS는 파편화된 보안에서 공유 보안 구조로 발전한다. 아래 그림을 예시로 들면, 좌측과 우측 시나리오 모두 이더리움 생태계에 각각 $13B이 주입된 상황이다. 그러나 좌측 구조의 경우 AVS의 CoC(Cost of Corruption, 공격비용)가 $1B인 반면, 아이겐레이어를 도입한 우측 구조의 CoC는 $13B이 된다.